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세언(金世彦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장흥 부사(長興府使)의 아들로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한 기록이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〈조대기(釣臺記)〉로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세업(金世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하(金碬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세우(金世愚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암행어사(暗行御史) 김규(金虯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냄. 《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》에 적성현(赤城縣)의 명관으로 기록됨.
1484~152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정(金世靜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김굉(金硡)의 아들로, 동생 김세묵(金世默)의 아들 김수(金脩)가 계후(繼後)함. 빙고별제(氷庫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준(金世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문경(金文卿)의 아들로, 1507년(중종 2) 증광시(增廣試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를 지냄. 조욱(趙昱)과 교유하여 관련 시편(詩篇)이 《용문집(龍門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진(金世震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. 군수(郡守)를 지낸 김홍(金洪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세충(金世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예손(金禮孫)의 아버지로, 종묘서 부봉사(宗廟署副奉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필(金世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, 조광조(趙光祖)를 사사(賜死)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(杖配)됨. 경학(經學)에 밝았음.
1473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세한(金勢漢)
경주김씨(慶州金氏)의 시조인 김알지(金閼智)의 아들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김세헌(金世憲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원(金瑗)의 아들로, 1537년(중종 3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(司饔院正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호(金世鎬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익기(金益基)의 아들. 1690년(숙종 1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권문해(權文海)의 행장을 씀.
1652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소(金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으로, 창원 부사(昌原府使) 김복일(金復一)의 아들. 호원(灝元) 권문해(權文海)의 생질(甥姪)로,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김소(金瀟)에 대한 제문(祭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소윤(金昭胤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이며, 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을 지낸 김극뉴(金克忸)의 아들.
1475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속명(金續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화평(化平). 1361년(공민왕 10)에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녹훈되고,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를 지냄. 충혜왕(忠肅王)의 비(妃)인 명덕태후(明德太后)의 인척으로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함.
?~138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송수(金松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훈도(訓導)를 지낸 김공신(金公信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수(金銖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(開城尹)을 지냈고,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냄.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과 교유하고, 천곡(川谷)에 녹봉서당(鹿峯書堂)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성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수(金睟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 때 《십구사략(十九史略)》을 개수(改修)하여 주를 붙임.
1547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(金粹)
조선 전기의 유학. 진사(進士) 김경운(金慶雲)의 아버지로, 주세붕(周世鵬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수(金綏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1525년(중종 2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무예에도 뛰어났음.
1491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수(金脩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세묵(金世黙)의 아들로, 김세정(金世靜)에게 출계(出系)함. 1572년(선조 5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학유(學諭) 등을 지냈고,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함.
155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