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수(金隨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낙안(樂安). 전객령(典客令)을 지낸 김남정(金南正)의 아들. 복재(復齋) 정총(鄭摠)의 장인으로, 문예가 뛰어났고, 낙천군(樂川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(金需)@고려전기
고려 전기의 문신. 상산김씨(商山金氏)의 시조. 보윤(甫尹)을 지냈고 상산군(商山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(金需)@고려후기
고려 말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판예빈시사(判禮賓寺事) 월성부원군(月城府院君) 김천서(金天瑞)의 아들로, 정종(定宗)의 비(妃)인 순덕대비(順德大妃)의 오빠.
1338~140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(金須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문정공(文正公) 김태현(金台鉉)의 아버지로, 삼별초(三別抄)를 토벌하다가 제주(濟州)에서 전사함.
?~1271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겸(金守謙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낸 김연(金埏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수동(金壽童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에 봉해졌으며, 삼포왜란(三浦倭亂)을 진압함.
145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련(金守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덕천 군수(德川郡守)를 지낸 김이상(金履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수령(金壽寧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ㆍ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경사(經史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.
1436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수문(金秀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진사 김임(金銋)의 아들.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제주 목사(濟州牧使)로서 왜구(倭寇)를 대파하는 공을 세웠고, 평안도 병마절도사(平安道兵馬節度使) 때는 여러 차례 호인(胡人)의 침략을 격퇴하고 전사함.
?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수생(金水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군자시 주부(軍資寺主簿)를 거쳐 부령 부사(富寧府使)ㆍ고령 첨사(高靈僉使) 등을 지냈으며, 노수신(盧守愼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수성(金遂性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성균관 유생으로 조광조(趙光祖)의 석방을 탄원했으며, 주로 삼사(三司)의 언관직(言官職)을 역임함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손(金首孫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거쳐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역임했고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을 찬진(撰進)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온(金守溫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세종ㆍ세조(世祖)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, 특히 시문에 뛰어나 〈희청부(喜晴賦)〉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.
1410~148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윤(金壽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경상우도 병마절도사(慶尙右道兵馬節度使) 김일(金軼)의 아버지로, 연안 교수(延安敎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인(金壽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유학 김언백(金彦伯)의 아버지로, 선무랑(宣務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인(金守仁)
조선 전기의 문신. 좌의정을 지낸 김명원(金命元)의 아들로, 별좌(別坐)를 지내다가 요절함. 윤근수(尹根壽)가 지은 애사(哀詞)가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일(金守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학문과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음.
1528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수준(金壽濬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1517년(중종 12) 별시(別試)에 급제했으며, 정사룡(鄭士龍)의 문집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증(金壽增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상헌(金尙憲)의 손자. 기사환국(己巳換局)으로 동생 김수항(金壽恒)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(華蔭洞)으로 들어가 은둔함.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음.
1624~1701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수항(金壽恒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상헌(金尙憲)의 손자로 가학(家學)을 계승하고 송시열(宋時烈)과 교유함.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.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(騈儷文)은 당대 제일로 꼽힘.
1629~16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