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수현(金壽賢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으로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을 지낸 김진(金鎭)의 아들.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고,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(斥和)를 주장함.
1565~165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형(金壽亨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수원(水原). 김사(金嗣)의 아들로, 참봉(參奉)ㆍ주부(主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수홍(金粹洪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천(順天). 선공감 정(繕工監正)을 지낸 김약균(金若鈞)의 아들로, 1480년(성종 1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수흥(金壽興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냈으나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장기(長鬐)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. 저서에 《퇴우당집(退憂堂集)》 5책이 있음.
1626~169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장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숙(金淑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1454년(단종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ㆍ부사(府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숙남(金叔南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수원(水原). 진의부위(振義副尉) 김예중(金禮仲)의 아들로, 충순위 적순부위(忠順衛迪順副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숙승(金叔承)
고려 전기의 문신. 구안동김씨(舊安東金氏)의 시조. 대안군(大安君) 김은열(金殷說)의 아들로, 공부시랑(工部侍郞)ㆍ평장사(平章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숙자(金叔滋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스승인 길재(吉再)로부터 정몽주(鄭夢周)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(金宗直)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.
1389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숙준(金叔準)
조선 전기의 유학. 성현(成俔)의 《허백당집(虛白堂集)》에 그의 제문(祭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숙춘(金叔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사원(金士元)의 아버지로, 흡곡 현령(歙谷縣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순(金恂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방경(金方慶)의 넷째 아들. 1312년(충선왕 4)에 상락군(上洛君)에 봉해졌으며, 판삼사사(判三司事)에 오름. 성격이 관후(寬厚)하고 예서(隷書)를 잘 썼으며,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.
1258~132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순(金洵)
조선 전기의 문신. 명천 현감(明川縣監)을 지냈으며, 임형수(林亨秀)와 칠보산(七寶山)을 유람한 내용이《금호유고(錦湖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명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순(金珣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백경(金伯卿)의 아들로, 충청 도사(忠淸都事)ㆍ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순(金順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김녕(金寧). 판도 판서(版圖判書) 김광저(金光儲)의 아들로, 고려 때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냈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충북 옥천(沃川)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순고(金舜皐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평양부원군(平陽府院君) 김승주(金承霔)의 후손으로, 수군의 전비(戰備)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(戰船)의 수미에 포(砲)를 비치하게 함.
1489~157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순명(金順命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으로, 김길통(金吉通)의 아들. 1467년(세조 13)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훈되었고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냈으며, 청릉군(淸陵君)에 봉해짐.
1435~148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순성(金順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김굉(金硡)의 아버지로, 평양 서윤(平壤庶尹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순의(金順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제(金堤). 태재(泰齋) 유방선(柳方善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순정(金順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김양진(金楊震)의 아들로, 군기시 부정(軍器寺副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숭로(金崇老)
조선 전기의 문신. 충청도 찰방(察訪)을 지냈으며, 서거정(徐居正)이 써 보낸 송시(送詩)들이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