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숭조(金崇祖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충손(金衷孫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연산군이 폐위된 후 연산군 아래에서 벼슬한 것을 부끄럽게 여김.
1461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승경(金升卿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신민(金新民)의 아들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좌되어 부관참시(剖棺斬屍)의 추형(追刑)을 당하였음.
1430~14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승경(金承敬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부사(府使) 김정신(金鼎臣)의 아버지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승석(金承碩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청주 목사(淸州牧使) 김흠(金欽)의 아버지이고, 동래 부사(東萊府使) 송상현(宋象賢)의 장인. 전력부위(展力副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승용(金承用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상락군(上洛君) 김후(金厚)의 아버지로, 내부령(內府令)을 지냄. 1328년(충숙왕 16) 성절사(聖節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죽음. 청렴하기로 유명함.
?~132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승주(金承霔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(太宗)의 즉위에 공을 세움.
1354~142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승택(金承澤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상락후(上洛侯) 김방경(金方慶)의 손자. 조적(曺頔)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,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(中書侍郞平章事)로 치사(致仕)함.
?~135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시번(金始蕃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으로,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 김신국(金藎國)의 아들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인조의 며느리인 민회빈강씨(愍懷嬪姜氏)를 구제하려다 파직당함.
1610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시보(金時輔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07년(중종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현감을 지냄. 수원김씨(水原金氏) 시조 김품언(金稟言)의 22세손으로, 용성김씨(龍城金氏)의 시조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시습(金時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. 본관은 강릉(江陵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《금오신화(金鰲新話)》를 지음. 주기론적(主氣論的)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,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.
143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ㅣ경상도>경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김시양(金時讓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비안 현감(庇安縣監) 김인갑(金仁甲)의 아들.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1636년(인조 14) 청백리에 뽑힘. 《하담파적록(荷潭破寂錄)》ㆍ《하담집(荷潭集)》ㆍ《부계기문(涪溪記聞)》 등을 남김.
1581~164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시임(金時任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豐山)으로, 잠암(潛庵) 김의정(金義貞)의 현손(玄孫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시좌(金時佐)
조선 전기의 효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어려서 아버지를 여읜 후, 어머니를 지성으로 모시었고, 어머니가 죽자 여막(廬墓)에서 3년간 살면서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고 함. 또 중종(中宗)과 명종(明宗)의 국상(國喪)에 3년간 심상(心喪)을 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김시찬(金是瓚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성균생원 김성익(金聖翼)의 아들. 학행으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에 천거되고 그 후 봉사(奉事)ㆍ직장(直長) 등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함.
1754~18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시창(金始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 유학ㆍ효자(孝子). 본관은 금산(金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현량과(賢良科)에 피천(被薦)되었으나 나가지 않음.
147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금산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기타인명>효자
-
김시침(金時忱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잠암(潛庵) 김의정(金義貞)의 현손(玄孫)으로, 서빙고 별제(西氷庫別提)에 제수됨.
1600~167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시환(金始煥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김상성(金尙星)의 아버지.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
1661~1739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시회(金時晦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헌납(獻納) 김충갑(金忠甲)의 아들로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했으며, 부평 부사(富平府使)를 지냄.
1542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식(金鉽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자점(金自點)의 아들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郎)이 되었으나, 1651년(효종 2) 김자점의 옥사(獄事) 때 역모 혐의로 함께 처형됨.
1620~165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식(金湜)@고려
고려 전기의 문신. 상산김씨(商山金氏)의 시조인 김수(金需)의 손자. 찬성사(贊成事) 김희일(金希逸)의 아버지로, 시중(侍中) 등을 지냄.
990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