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식(金湜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현량과(賢良科)에 장원 급제하고, 기묘팔현(己卯八賢)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,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. 선조(宣祖) 때 영의정에 추증됨.
1482~152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신국(金藎國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킴. 1613년(광해군 5)에 익사공신(翼社功臣)에 책록되고 청릉군(淸陵君)에 봉해짐.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72~165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신동(金神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1519년(중종 14) 현량과(賢良科)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출(罷黜)됨
148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신민(金新民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중성(金仲誠)의 아들로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편찬에 편수관(編修官)으로 참여하였으며 벼슬이 지중추원사(知中樞院事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신원(金信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정철(鄭澈)의 《송강집(松江集)》에 〈추차홍태고운 봉증일학김학사(追次洪太古韻奉贈一壑金學士)〉라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심(金諶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호조 참의(戶曹參議) 김우신(金友臣)의 아들로, 도총부 부총관(都摠府副摠管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445~150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안경(金安慶)
조선 전기의 유학. 1577년(선조 10) 최인기(崔仁起)ㆍ정유성(鄭惟誠)ㆍ김안복(金安福)ㆍ김효원(金孝元) 등과 강원도 두타산(頭陀山)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안도(金安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김전(金詮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함종 현령(咸從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안로(金安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(賜死)되었으며, 허항(許沆)ㆍ채무택(蔡無擇)과 함께 정유상흉(丁酉三凶)으로 일컬어짐.
1481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ㅣ경기도>교하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안복(金安福)
조선 전기의 유학. 1577년(선조 10) 최인기(崔仁起)ㆍ정유성(鄭惟誠)ㆍ김안경(金安慶)ㆍ김효원(金孝元) 등과 강원도 두타산(頭陀山)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안세(金安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의 중형(仲兄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, 비안 현감(庇安縣監) 등을 역임함.
1477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안정(金安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(金訢)의 아들로, 도승지와 이조 참판, 개성부 유수(開城府留守) 등을 역임함.
1476~1533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안중(金安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박흥생(朴興生)과 교유하였고, 《국당유고(菊堂遺稿)》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알지(金閼智)
신라 제4대 탈해왕(脫解王)의 양자. 경주김씨(慶州金氏)의 시조. 탈해왕(脫解王) 때 시림(始林)의 금궤에서 수려한 아이가 나왔다 하여 김알지라 이름하고 수양아들로 삼음.
65~?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김약(金躍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 김계보(金季甫)의 아버지로, 능성 현령(綾城縣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균(金若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선공시 판사(繕工寺判事)를 지낸 김원석(金元石)의 아들로, 선천 군수(行宣川郡守)ㆍ선공감 정(繕工監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묵(金若默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진(康津).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(泰仁)의 무성서원(武城書院)에 배향됨.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김인후(金麟厚)가 지은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500~155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수(金若洙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. 조선 말의 학자이며 의병장인 김도화(金道和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약시(金若時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진현관 직제학(進賢館直提學)에 이르렀으나, 고려가 망하자 광주(廣州) 산골에 은거함. 두문동 칠십이현(七十二賢)의 한 사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