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약온(金若溫)
고려 예종(睿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양감(金良鑑)의 아들로, 이자겸(李資謙)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. 벼슬이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이름.
1059~1140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채(金若采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광성군(光城君) 김정(金鼎)의 아들. 1400년(정종 2) 사병을 없애고 병권을 중앙에 집중시키자고 역설하여 단행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연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평(金若枰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참판(參判) 김희열(金希說)의 아버지로, 목천 현감(木川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항(金若恒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명 나라에 보낸 표전(表箋)으로 인해 명 나라에 불려가 억류되었으며, 후에 다른 일로 양자강(揚子江)으로 귀양가 사망함.
?~139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약허(金若虛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강진(康津)으로, 생원 김희윤(金希尹)의 아들.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약회(金若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강진(康津)으로, 생원 김희윤(金希尹)의 아들.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고, 전라도 태인(泰仁)에 한정(閑亭)을 짓고 살면서 면앙정(俛仰亭) 송순(宋純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양(金陽)
통일신라의 왕족. 839년(민애왕 2) 김우징(金佑徵)ㆍ장보고(張保皐) 등과 함께 민애왕(閔哀王)을 시해하고 김우징을 신무왕(神武王)으로 추대함.
808~85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김양감(金良鑑)
고려 문종(文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자겸(李資謙)과 인척이면서도 정의를 지킴. 《삼국유사(三國遺事)》에 수록된 〈가락국기(駕洛國記)〉의 저자라고 전하기도 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경(金良璥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효민(金孝敏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?~14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보(金楊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고려 공양왕(恭讓王) 때 예의 판서(禮儀判書)를 지낸 김주(金澍)의 아들로, 문경 현감(聞慶縣監)ㆍ선위사(宣慰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전(金良琠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초계 군수(草溪郡守)로 있던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정(金養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1577년(선조 10) 최인기(崔仁起)ㆍ정유성(鄭惟誠)ㆍ김안경(金安慶)ㆍ김안복(金安福)ㆍ김효원(金孝元) 등과 강원도 두타산(頭陀山)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양좌(金良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1495년(연산군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전주 판관(全州判官) 등을 지냄. 전라도 장흥(長興)에서 남효온(南孝溫)ㆍ윤구(尹遘) 등이 회동할 때 참석한 내용이 《추강집(秋江集)》 〈조대기(釣臺記)〉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준(金良俊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신(金信)의 아들로, 연은전 참봉(延恩殿參奉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중(金陽仲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으로, 통훈대부(通訓大夫) 김우운(金祐雲)의 손자. 교수(敎授)를 지냈고, 《송재유고(松齋遺稿)》에 묘표(墓表)가 실려 있음.
1487~154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양진(金楊震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. 역학(易學)ㆍ음양(陰陽) 및 복서(卜筮)에 통달하였으며, 이행(李荇)ㆍ정희량(鄭希良)ㆍ권달수(權達手) 등과 교유가 깊었음.
1467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양행(金亮行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민우수(閔愚洙)의 문인으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, 이우신(李友信)ㆍ민치복(閔致福)ㆍ박준원(朴準源) 등을 배출함.
1715~177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언(金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강희맹(姜希孟)의 외손자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언거(金彦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정(金禎)의 아들로, 김인후(金麟厚)ㆍ이황(李滉)ㆍ기대승(奇大升) 등과 교우함.
1503~15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언건(金彦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동(永同). 온성 판관(穩城判官) 김각(金覺)의 아버지로,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(淵嶽書院)에 제향됨.
1511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