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언겸(金彦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병절교위(秉節校尉) 김인손(金仁孫)의 아들. 아들 김현성(金玄成)까지 2대에 걸쳐 대과에 급제함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언경(金彦庚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명(明) 나라의 건주위(建州衛)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.
1433~1501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언근(金彦根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유학. 1784년에 이진악(李鎭岳) 등과 함께 상소하여 덕흥서원(德興書院)의 사액을 청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언기(金彦璣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도산(陶山)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. 이황이 죽은 후 여강(廬江)에 서원을 세우고, 백련사(白蓮寺)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(崇儒抑佛)에 노력함.
152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언로(金彦老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세필(金世弼)의 《십청집(十淸集)》에 〈제김대년언로애경당(題金大年彦老愛敬堂)〉 2수가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언백(金彦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선무랑(宣務郞) 김수인(金壽仁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언상(金彦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흥(瑞興). 김굉필(金宏弼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냄.
1480~154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언신(金彦辛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1477년(성종 8)에 유자광(柳子光)의 사주를 받아 도승지(都承旨) 현석규(玄錫圭)를 탄핵하였다가 하옥되었고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1436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언욱(金彦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주(義州)로 파천(播遷)하는 선조(宣祖)를 호종하였음. 정철(鄭澈)ㆍ조헌(趙憲) 등과 교유함.
1545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언침(金彦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임진왜란 의병장 김천일(金千鎰)의 아버지로, 1534년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언평(金彦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청해군(靑海君) 이우(李堣)와 함께 정희량(鄭希良)의 문집인 《허암유집(虛庵遺集)》을 간행함.
?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언필(金彦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1522년(중종 17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주세붕(周世鵬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언홍(金彦弘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정언(正言)을 지낸 김익(金釴)의 아버지로, 경력(經歷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경(金汝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서장관(書狀官)으로 떠날 때 정탁(鄭琢)이 지어준 시가 《약포집(藥圃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려(金汝礪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부사(府使) 김숙(金淑)의 아버지로, 1455년(세조 1) 원종공신(原從功臣) 3등에 녹훈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김여물(金汝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찰방(察訪) 김훈(金壎)의 아들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충주(忠州)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. 뒤에 영의정(領議政)으로 추증됨.
1548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부(金汝孚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아들로, 홍문관 전한(弘文館典翰)을 지냄. 인품이 경박하고, 권문(權門)에 빌붙어 진취(進取)에 급급하여 결국은 조정에서 축출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석(金礪石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이시애(李施愛)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고, 명(明) 나라의 건주위(建州衛) 정벌 때 참여하여 공을 세움.
144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정(金汝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사재감 정(司宰監正) 김현도(金玄度)의 아버지로, 사재감 직장(司宰監直長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중(金汝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어려서는 이후백(李後白)ㆍ박순(朴淳)에게 배웠고, 장성해서는 박광전(朴光前)에게 배움. 임진왜란 때 금산(錦山)과 무주(茂朱)의 전투에 참여하였고, 충무공(忠武公) 이순신(李舜臣)을 따라 많은 공을 세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