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여지(金汝知)
고려 창왕(昌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밀직 제학(密直提學) 김도(金濤)의 아들이며 김자지(金自知)의 동생. 1389년(창왕 1)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 규정(司憲糾正)에 제수되었으며, 조선 건국 후 우헌납(右獻納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370~142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여흥(金余興)
고려 후기의 문신. 청도김씨(淸道金氏)의 시조인 김지대(金之岱)의 아버지. 시중(侍中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역(金繹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창(咸昌). 중종(中宗) 때의 진사(進士) 김극형(金克亨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연(金㬫)
고려 후기의 문신. 정포(鄭誧)의 《설곡집(雪谷集)》에 대서(代書)한 시(詩)가 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연(金埏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수겸(金守謙)의 아들로,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역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연(金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안로(金安老)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(司諫)을 지냄.
1487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연(金縯)
조선 전기의 문인. 이현보(李賢輔)의 《농암집(聾巖集)》에 시(詩) 1수(首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김연광(金鍊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로, 심적당(心適堂) 김이상(金履祥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회양 부사(淮陽府使)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,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.
1524~159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연수(金延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종서(金宗瑞)의 외손이며, 청백리(淸白吏)로 이름이 남.
?~151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연조(金延祖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로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 등을 지냄.
1585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열(金閱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약채(金若采)의 아들로, 문장이 뛰어났으며, 헌납(獻納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열(金說)
조선 전기의 유학. 유희춘(柳希春)의 《미암집(眉巖集)》에 〈김열가김호이마(金說假金鎬以馬)〉라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영(金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영수(金永銖)의 아들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의 피해자를 신원(伸寃)하도록 상소함.
1475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간(金永幹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굉필(金宏弼) 문하에서 수업하고 조광조(趙光祖) 등과 교유하였으며, 단경왕후(端敬王后) 복위를 상소하였다가 장흥(長興)에 유배됨.
1468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견(金永堅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진손(金震孫)의 아들.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봉되었으며, 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과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영고(金永固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인경(金仁鏡)의 아버지로, 1173년(명종 3) 김보당(金甫當)의 난에 연루되어 영주(寧州) 옥에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이준의(李俊儀)의 도움으로 풀려남. 벼슬이 합문지후(閤門祗候)에 이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남(金穎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김기(金誋)의 아들. 진양 군수(晋陽郡守)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동강(東江)의 왜적을 방어하는 한편, 사천(泗川)에 있는 적을 소탕하고 수천석의 군량미를 서울에 운반하였음.
1547~161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돈(金永暾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무신. 김방경(金方慶)의 손자로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.
1285~134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영렬(金英烈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
?~14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김영세(金英世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홍필(金弘弼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의성 현령(義城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