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영수(金永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한성 판관(漢城判官) 김계권(金係權)의 아들로, 영천 군수(永川郡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사어(射御)ㆍ음률 등에 뛰어났고, 특히 글씨를 잘 씀.
1446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영수(金寧秀)
조선 전기의 유학. 길재(吉再)의 외예(外裔)로, 함창(咸昌)의 양한정(養閑亭)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영숙(金榮叔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여산(礪山) 남계(鑑溪) 가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남효온(南孝溫)에게 청하였는데, 그 기문(記文)이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은진ㅣ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영유(金永濡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십청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조부로, 대사헌(大司憲)ㆍ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역임함.
1418~149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정(金永貞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김영견(金永堅)의 동생. 여러 번 명(明) 나라로 사신갔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하였음.
1437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조(金榮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산음 현감(山陰縣監)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이며 김성일(金誠一)의 사위로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냈음.
1577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택(金令澤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상정(金相定)의 아버지로, 대흥 군수(大興郡守)를 지냄.
1699~176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영한(金寗漢)
근대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홍진(金鴻鎭)의 아들로, 형조 판서 김석진(金奭鎭)에게 입양됨. 농암(農巖) 김창협(金昌協)의 9대손(代孫)으로, 박광전(朴光前)의 《죽천집(竹川集)》을 비롯한 많은 문집에 서문(序文)ㆍ발문(跋文)을 씀.
1878~? 한국>근대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영후(金永煦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영돈(金永暾)의 동생.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로 잡혀갈 때 호위함.
1292~136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예근(金禮根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개성(開城)으로, 부사(府使)를 지낸 김한걸(金漢傑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예몽(金禮蒙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(試官)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.
1406~146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예범(金禮範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진사 김만근(金萬謹)의 아들이며, 학봉(鶴峯) 김성일(金誠一)의 조부(祖父)로, 병절교위(秉節校尉)를 지냄.
1479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예손(金禮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종묘서 봉사(宗廟署奉事)를 지낸 김세충(金世忠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오문(金五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김구덕(金九德)의 아들이자, 왕세자 시절 문종(文宗)의 빈(嬪)이었던 휘빈(徽嬪)의 아버지로, 좌군동지총제(左軍同知摠制)를 지냈으며,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추록됨.
?~142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옥려(金玉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선무랑(宣務郞) 김보중(金寶重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온(金穩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봉상대부(奉常大夫) 김황(金貺)의 아들로, 밀양 부사(密陽府使)ㆍ양주 목사(楊州牧使) 등을 지냄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5대조.
1348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온(金韞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자암(自庵) 김구(金絿)의 손자로, 1585년(선조 18) 별시(別試)에 합격하여 지평(持平) 등을 역임했고 임진왜란 때 목숨을 잃음.
1538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온교(金溫嶠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학자. 허백정(虛白亭) 홍귀달(洪貴達)의 외종숙(外從叔)으로,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옹(金顒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전력(展力) 김삼산(金三山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현량과(賢良科)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냄.
148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요명(金堯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곤수(鄭崑壽)의 《백곡집(栢谷集)》에 〈억김요명유감(憶金堯命有感)〉이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