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용(金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,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 수찬(修撰)에 참여함.
1557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용(金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함.
?~136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안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용겸(金用謙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창즙(金昌緝)의 아들. 이재(李縡)와 박필주(朴弼周)에게 경서(經書)와 예서(禮書)를 배웠으며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등을 지냄.
1702~17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용비(金龍庇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금오위 별장(金吾衛別將)을 지낸 김공우(金公祐)의 아들로, 태자 첨사(太子詹事)를 지냈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용석(金用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 등과 동문수학하였음. 무오사화(戊午士禍)가 일어나자 태백산(太白山)으로 들어갔음.
1453~152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용주(金龍珠)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공우(金公祐)의 셋째 아들로, 여진(女眞)의 난을 평정하여 추충공신(推忠功臣)에 녹훈되고, 개성군(開城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용춘(金龍春)
신라 진지왕(眞智王)의 아들. 어머니는 지도부인(知道夫人) 박씨. 태종 무열왕(太宗武烈王)의 아버지로, 654년(태종무열왕 1)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(文興大王)으로 추봉됨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왕실>국왕
-
김용필(金龍弼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공우(金公祐)의 둘째 아들로, 수사공(守司空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용호(金龍浩)
조선 고종(高宗) 때의 유학. 순국지사 송병순(宋秉珣)의 문인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용휘(金湧輝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김계보(金季甫)의 증조부. 예의 판서(禮儀判書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우(金瑀)
조선 전기의 문신. 노수신(盧守愼)과 교유하였고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우(金宇)
조선 정종(定宗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희천(熙川).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.
?~1418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희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김우(金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김륵(金玏)의 조부이며, 박임종(朴林宗)의 사위. 성주 목사(星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우굉(金宇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대사성(大司成)ㆍ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냄.
1524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우근(金友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선공감 첨정(繕工監僉正)ㆍ제주 목사(濟州牧使) 등을 지내고, 정수강(丁壽崗)ㆍ박상(朴祥)과 교유하여 《월헌집(月軒集)》ㆍ《눌재집(訥齋集)》에 차운시ㆍ별시(別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우명(金佑明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외척. 영의정 김육(金堉)의 아들이며, 현종(顯宗) 비(妃)인 명성왕후(明聖王后)의 아버지. 같은 서인(西人)이었던 송시열(宋時烈)과 대립하여 한당(漢黨)의 중진이 되어 남인인 허적(許積)에 동조하였으나, 남인과의 알력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둔함.
1619~167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우서(金禹瑞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북병사(北兵使) 등을 지내고, 전라병영(全羅兵營)을 중창했으며, 〈전라병영중창기(全羅兵營重創記)〉가 양응정(梁應鼎)의 《송천유집(松川遺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우신(金友臣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안락당(顔樂堂) 김흔(金訢)의 아버지.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(師傅)로서 호조 참의(戶曹參議)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424~151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우옹(金宇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《속자치통감강목(續自治通鑑綱目)》을 찬하고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1540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우용(金宇容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삼척 부사(三陟府使) 김희삼(金希參)의 아들로, 감찰(監察)ㆍ밀양 부사(密陽府使) 등을 지냄.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(金宇顒)의 형.
1538~160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