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우증(金友曾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의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김우현(金遇賢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창(咸昌).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지낸 김선(金瑄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우홍(金宇弘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삼척 부사(三陟府使) 김희삼(金希參)의 아들로, 나주 목사(羅州牧使)ㆍ광주 목사(光州牧使) 등을 지냄.
1522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우홍(金禹洪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송순(宋純)의 《면앙집(俛仰集)》에 그의 행장(行狀)이 실려 있음.
1459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원(金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허의(金許義)의 아들이고, 김세헌(金世憲)의 아버지.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예조 정랑(禮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원석(金元石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선공감 정(繕工監正) 등을 지낸 김약균(金若鈞)의 아버지로, 선공시 판사(繕工寺判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원신(金元臣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수(金脩)의 아들로, 본관은 연안(延安). 안동 부사(安東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원행(金元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재(李縡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때 종조(從祖) 김창집(金昌集)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.
1702~17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원효(金元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윤근수(尹根壽)의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만사(挽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위(金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이이(李珥)와 교유함. 임진왜란 때 병든 몸으로 어가를 호종하였고, 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유(金愉)
조선 전기의 무신. 김건(金鍵)의 아버지로, 부호군(副護軍)ㆍ건공장군(建功將軍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유(金庾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홍건적(紅巾賊)과 왜구(倭寇)의 침략을 격퇴하고 흥왕사(興王寺)의 난을 평정하였으며, 제주(濟州) 목호(牧胡)의 난을 진압함.
?~138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유(金逌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진사(進士) 김걸(金傑)의 아들로, 응교(應敎)를 지냄. 협찬공신(協贊功臣) 김지연(金之衍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유수(金裕壽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채제공(蔡濟恭)의 《번암집(樊巖集)》에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695~176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유신(金庾信)
신라 진평왕(眞平王)~통일신라 문무왕(文武王) 때의 장군ㆍ대신.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함.
595~673 한국>통일신라ㅣ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유양(金有讓)
조선 세종(世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평양부원군(平陽府院君) 김승주(金承霔)의 아들로, 우부 승지(右副承旨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유일(金有一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황(丁熿)의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유정(金惟精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평양부원군(平陽府院君) 김승주(金承霔)의 아버지로, 정주 목사(定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육(金堉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풍(淸風). 대동법(大同法) 실시, 수차(水車)ㆍ수레 사용,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580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가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윤(金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백광훈(白光勳)ㆍ최경창(崔慶昌) 등과 동문수학한 사실이 《옥봉집(玉峯集)》에 실려 있으며,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팔문장(八文章)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