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응두(金應斗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고부 군수(古阜郡守)를 역임하면서 민폐를 제거하고 봉공(奉公)에 힘써 포상을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응린(金應麟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1519년(중종 14) 문과 별시에 급제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응무(金應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목사(牧使)를 지낸 김사원(金士元)의 아들. 좌의정을 지낸 아들 김귀영(金貴榮)으로 인하여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응복(金應福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본관은 광주(光州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김진강(金振綱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응상(金應商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무주 현감(茂朱縣監)을 지낸 김춘(金春)의 아버지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응생(金應生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황(李滉)의 문인. 자양산(紫陽山) 아래 서숙(書塾)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, 포은(圃隱) 정몽주(鄭夢周)를 배향한 임고서원(臨皐書院)의 건립을 주도함.
1496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응인(金應寅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산(梁山). 김량(金亮)의 아들. 1558년(명종 13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(海南縣監)ㆍ좌랑(佐郞) 등을 지냈고, 백광훈(白光勳)과 교유함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응조(金應祖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산음 현감(山陰縣監)을 지낸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이며, 김성일(金誠一)의 손녀 사위. 유성룡(柳成龍)ㆍ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587~166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응함(金應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경운(金慶雲)의 아버지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응회(金應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제자. 의병장 김천일(金千鎰)과 종유(從遊)했으며, 의병장 김덕령(金德齡)의 매부(妹夫). 효행이 뛰어나 정려(旌閭)됨.
1555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의(金宜)@김남득의아버지
고려 후기의 문신. 고령김씨(高靈金氏)의 시조(始祖) 김남득(金南得)의 아버지로, 전리 좌랑(典理佐郞)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의(金宜)@김구의아버지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우복야(右僕射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낸 김작신(金作新)의 아들이며, 지포(止浦) 김구(金坵)의 아버지로, 우복야(右僕射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의(金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십청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증손이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사사(賜死)된 지평(持平) 김저(金䃴)의 손자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의(金義)
조선 전기의 유학. 노진(盧禛)이 지은 〈순자루주차김상상운(鶉子樓走次金上庠韻)〉이라는 시가 《옥계집(玉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의원(金義元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통훈대부(通訓大夫) 김호우(金好遇)의 아들이자 김효원(金孝元)의 동생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냈으며, 《곤륙재집(困六齋集)》을 남김.
1558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의원(金義元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정황(丁熿)이 지은 〈제곡장김의원만(梯谷丈金義元挽)〉이라는 시가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의정(金義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(金安老)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,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.
1495~154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의지(金義之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수원(水原). 용성김씨(龍城金氏)의 시조 김시보(金時輔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이(金怡)
조선 후기의 유학. 옥봉(玉峯) 백광훈(白光勳)의 사위로, 유광정(柳光霆)과는 동서(同壻) 사이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이(金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낸 김공망(金公望)의 아들로, 음사(蔭仕)로 당진 현령(唐津縣令) 등을 역임함.
1515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