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두문동칠십이현(杜門洞七十二賢)
조선 건국 후 출사(出仕)하지 않고 두문동(杜門洞)에 은거함으로써 고려 왕조에 대해 충절을 지킨 고려의 유신 72인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두밀(杜密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‘천하의 보필 두주보(天下良輔杜周甫)’라는 칭호를 받은 명신(名臣)으로, 팔준(八俊)의 한 사람. 당고지화(黨錮之禍)로 희생됨.
?~16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두범(杜範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직언(直言)을 잘 하였음.
?~124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두보(杜保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의협심이 강하기로 유명함. 복파장군(伏波將軍) 마원(馬援)이 말한 ‘화호유구(畵虎類狗)’에 나오는 인물임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두성(斗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의 여덟째 별자리. 두수(斗宿)라고도 하며, 북두칠성(北斗七星)을 달리 부르는 말.
자연물>천체
-
두시(杜詩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문신. 횡포한 장군 소광(蕭光)을 격살(格殺)하고, 역적 양이(楊異) 등을 주벌함. 크게 선정을 베풂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두시언해(杜詩諺解)
조선 성종(成宗) 때 유윤겸(柳允謙) 등의 문신들과 승려 의침(義砧)이 당(唐) 나라 시인 두보(杜甫)의 한시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본문과 주석을 언해한 책. 1481년(성종 12)에 을해자(乙亥字)로 간행함.
1481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두심언(杜審言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. 두보(杜甫)의 할아버지로, 수문관 직학사(修文館直學士) 등을 지냄. 이교(李嶠)ㆍ최융(崔融)ㆍ소미도(蘇味道)와 함께 문장사우(文章四友)로 일컬어짐.
648~70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두여회(杜如晦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문학관(文學館) 18학사의 한 사람으로, 방현령(房玄齡)에게 그 재능을 인정받음. 태종(太宗) 즉위 후 태자좌서자(太子左庶子)ㆍ병부 상서(兵部尙書)ㆍ상서우복야(尙書右僕射) 등의 요직을 맡은 명신(名臣)임.
585~63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두연(杜衍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,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. 부필(富弼)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.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.
978~105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두연년(杜延年)
중국 전한(前漢) 소제(昭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어사대부(御史大夫)가 되어 곽광(霍光)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(賢士)로 칭송됨. 공신으로 기린각(麒麟閣)에 화상이 걸림.
?~B.C.52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두영(斗英)
조선 전기의 승려.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그와 관련된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두영(竇嬰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외척ㆍ문신. 효문후(孝文后) 두씨(竇氏)의 조카로, 대장군(大將軍)을 거쳐 승상(丞相)에 이르러 천하에 권위를 떨쳤으나, 뒤에 효경후(孝景后)의 노염을 사서 기시(棄市)됨.
?~B.C.13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두예(杜預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ㆍ학자. 진남대장군(鎭南大將軍)이 되어 오(吳)를 평정하여 당양현후(當陽縣侯)에 봉해짐. 춘추의례설(春秋義例說)을 확립하고, 춘추학으로서의 좌씨학을 집대성함.
222~28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두우(杜佑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학자. 3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음.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, 부국안민(富國安民)에 힘썼음. 역사연구가로, 《통전(通典)》을 저술함.
735~81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두우(杜宇)
중국 촉(蜀)의 국왕. 왕위를 빼앗기고 나라를 그리워하며 울다가 죽어서 두견(杜鵑)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음.
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두유(杜斿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. 남송(南宋) 이종(理宗) 단평(端平) 연간에 비각교수(秘閣校讐)를 역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두율우주(杜律虞註)
중국 원(元)나라 때 우집(虞集)이 당(唐) 나라 시인 두보(杜甫)의 칠언율시(七言律詩)를 모아 주해를 붙여 만든 책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두지인(杜知仁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어릴 때부터 시문(詩文)을 지었고, 자라서는 육경(六經)과 《논어(論語)》ㆍ《맹자(孟子)》를 공부했음. 저서로는 《시문십오권(詩文十五卷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