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익복(金益福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찰방(察訪)을 지낸 김광(金光)의 아들이며, 노진(盧禛)의 문인. 군수(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.
1551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익수(金益壽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중종 때 진하사(進賀使)로 중국에 다녀왔으며, 충청도 관찰사, 형조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함.
149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익훈(金益勳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의 손자. 김석주(金錫胄)와 함께 경신환국(庚申換局)을 일으켜 남인(南人)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, 기사환국(己巳換局)으로 추국(推鞫)을 당하던 중 장살(杖殺)됨.
1619~16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익휘(金益輝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의정부 우참찬(議政府右參贊)을 지낸 김개(金鎧)의 아들로, 음보로 사산감역(四山監役)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.
1533~159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익희(金益熙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김장생(金長生)의 손자이며 김반(金槃)의 아들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.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610~16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인경(金仁慶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. 본관은 광산(光山).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(惠順翁主)와 결혼함. 동서지간인 여성군(礪城君) 송인(宋寅)과 주고 받은 시들이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실려 있음.
1514~158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왕실>인척
-
김인경(金仁鏡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, 시부(詩賦)를 잘하여 ‘양경시부(良鏡詩賦)’라 칭송됨.
?~123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인령(金引齡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숙원장씨(淑媛張氏) 문제를 간언한 일에 관련되어 임실(任實)에 유배되어 죽음.
1462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인문(金仁問)
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(文武王)의 동생. 당(唐) 나라에 파견되어 나당(羅唐) 연합군을 조직하고, 소정방(蘇定方)과 연합하여 백제(百濟)와 고구려(高句麗)를 멸망시킴.
629~694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자
-
김인민(金仁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김춘경(金春卿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인선(金仁瑄)
통일신라의 인물. 내사령(內史令) 김예겸(金禮謙)의 아버지로, 김인경(金仁鏡)의 선조. 그에 관한 기록이 《허백당집(虛白堂集)》〈김양경시집서(金良鏡詩集序)〉에 남아 있음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김인손(金麟孫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병조 판서(兵曹判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내고, 경기 관찰사(京畿觀察使) 시절 황정(荒政)을 바로잡아 칭송받음.
1479~15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인수(金仁秀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도(淸道)로,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을 세운 김한귀(金漢貴)의 아버지. 전객령(典客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인원(金仁原)
조선 전기의 유학. 황준량(黃俊良)이 지은 〈차청양헌증주인김동년인원(次靑陽軒贈主人金同年仁原)〉이라는 시가 《금계집(錦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인존(金仁存)
고려 선종(宣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, 중요한 국사(國事)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.
?~1127 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인혼(金麟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김인후(金麟厚)의 종제(從弟)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막하(幕下)에서 참모(參謀)로 활약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인후(金麟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울산(蔚山). 홍문관박사(弘文館博士)ㆍ옥과현감(玉果縣監) 등을 지냈으나 1545년(명종 즉위년) 을사사화(乙巳士禍)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.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과 경(誠敬)의 실천을 중시하였고, 1796년(정조 20)에 문묘에 배향됨.
1510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일(金軼)@김극인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학생(學生) 김극인(金克仁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일(金軼)@김수윤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경상우도 병마절도사(慶尙右道兵馬節度使)ㆍ황주 목사(黃州牧使) 등을 역임함.
1493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일(金鎰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한림학사(翰林學士) 김지연(金之衍)의 아들로, 보정공신(保定功臣)에 책록되었고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