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일경(金一鏡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소론(小論)의 거두로 신임사화(辛壬士禍)를 주도하여 노론(老論) 수백 명을 살해 또는 추방하고 우참찬에 올랐으나,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재집권하자 친국(親鞫)을 받은 뒤 참형당함.
1662~17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일제(金日磾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소제(昭帝) 때의 문신. 흉노(匈奴) 출신으로, 무제의 유명(遺命)을 받고 상홍양(桑弘羊)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임(金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강령 현감(康翎縣監)을 역임한 김장생(金莊生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이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자갱(金子鏗)
조선 태종(太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현감(縣監) 김지(金輊)의 아들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역임하고, 선산 부사(善山府使)로 있을 때 학교를 수리하는 등 선정을 베풂.
1390~147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남(金自南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낸 김덕망(金德望)의 아들로, 원주 진관 병마절제사(原州鎭管兵馬節制使)ㆍ예빈시 정(禮賓寺正) 등을 지냄.
1603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수(金自粹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대사성(大司成)ㆍ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. 문하에 박흥생(朴興生)ㆍ박흥거(朴興居) 등이 있음.
1350~140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용(金自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 김희년(金禧年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자유(金子由)
고려 후기의 유학. 이규보(李奎報)와 교유하였고,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그를 위해 지은 시가 남아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자점(金自點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,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,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(伏誅)됨.
1588~165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자정(金自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종(中宗) 때 청백리(淸白吏)로 이름 난 김연수(金延壽)의 아버지로, 의영고 직장(義盈庫直長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중(金自重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낸 김덕망(金德望)의 아들로, 1618년(광해군 10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87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자지(金自知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밀직 제학(密直提學) 김도(金濤)의 아들. 배불론자(排佛論者)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(卜筮)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.
1367~143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질(金子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《우정집(憂亭集)》에 김극성(金克成)이 지은 〈화김상사자질송란음(和金上舍子質松欄吟)〉이란 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자창(金子昌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평양군(平壤君) 조서(趙瑞)의 사돈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행(金自行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집의(執義) 김질(金晊)의 아들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ㆍ관찰사(觀察使) 등을 지냄. 안동(安東) 태사묘(太師廟)의 묘우(廟宇) 터전을 마련함.
1412~14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휘(金自輝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학자 김태정(金台鼎)의 아버지로, 상호군(上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자흠(金子欽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김지(金輊)의 아들로, 1444년(세종 2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, 호조 참의(戶曹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자흥(金子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혼(金琿)의 아들로, 좌부승지(左副承旨) 등을 지냈으며, 김원상(金元祥)ㆍ오현량(吳賢良)과 함께 송방영(宋邦英) 일파를 제거함.
1264~132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작신(金作新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고종(高宗)ㆍ원종(元宗) 때의 문장가인 지포(止浦) 김구(金坵)의 조부로, 우복야(右僕射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