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장생(金莊生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강령 현감(康翎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장생(金長生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서인(西人)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, 예학(禮學)을 깊이 연구함.
1548~163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저(金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김세필(金世弼)의 아들로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가 1570년(선조 3)에 복권됨.
1512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적(金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1543년(중종 3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를 지냈으며, 정사룡(鄭士龍)의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그에게 주는 시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적(金積)
조선 전기의 문신. 김인후(金麟厚)가 지은 〈만김원조(挽金原祖)〉라는 시가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전(金詮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김우신(金友臣)의 아들. 중종 때 《속동문선(續東文選)》을 편찬하고, 남곤(南袞)ㆍ심정(沈貞) 등과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458~1523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전(金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배웠으며, 문학으로 이름이 남.
153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전(金佺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(金就礪)의 아들로,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역임함.
?~12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전(金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, 김양준(金良俊)의 아들이고, 김익(金瀷)의 동생. 철산 군수(鐵山郡守)ㆍ김해 부사(金海府使) 등을 지냈으며, 박승임(朴承任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점(金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기대승(奇大升)의 큰아들인 기효증(奇孝曾)의 장인. 연은전 참봉(延恩殿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정(金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(辛巳誣獄)으로 인해 사사(賜死)됨.
1486~152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정(金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예범(金禮範)의 아들이며, 김정(金淨)의 문인(門人). 중부 참봉(中部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, 호은정(壺隱亭)을 지어 놓고 소요함.
1508~15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정(金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언거(金彦琚)의 아버지로, 의주 교수(義州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정(金鼎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양광전라 찰방사(楊廣全羅察訪使)를 지냈으며, 추성보리공신(推誠輔理功臣) 광성군(光城君)에 봉해졌음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정경(金定卿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산(安山). 정종(定宗)의 부마인 김한(金澣)의 아버지로,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개성부 유후(開城府留後) 등을 지냄.
1345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안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정국(金正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동생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.
1485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정룡(金廷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서계(西溪) 김담수(金聃壽)의 아들이며, 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문인. 풍기 군수(豊基郡守)ㆍ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냈음.
1561~161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ㅣ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정신(金鼎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승경(金承敬)의 아들로, 1524년(중종 19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, 부사(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정언(金廷彦)
조선 전기의 유학. 기대승(奇大升)의 《고봉집(高峯集)》에 실려 있는 〈정효자시서급서(鄭孝子詩序及書)〉라는 글에 나옴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정오(金定旿)
조선 순조(純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존정(金存正)의 아들. 김일손(金馹孫)의 후손으로 이름을 경추(景鄒)에서 정오(定旿)로 고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