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종수(金鍾秀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으로, 김치만(金致萬)의 아들. 노론(老論) 벽파(僻派)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, 임성주(任聖周)ㆍ윤시동(尹蓍東)ㆍ김상묵(金尙默) 등과 교유함.
1728~179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종숙(金宗淑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우의정(右議政) 김질(金礩)의 아버지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?~14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종순(金從舜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계성(金季誠)의 아들로, 세조(世祖) 때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되었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05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종유(金宗裕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형으로 청송 교수(靑松敎授)를 지냄.
142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종윤(金宗胤)
조선 후기의 문신. 대사간(大司諫) 김극뉴(金克忸)의 아들로, 진산 군수(珍山郡守)를 지내고, 병조 참의(兵曹參議)로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종직(金宗直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고려 말 정몽주(鄭夢周)ㆍ길재(吉再)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(道統)의 정맥으로 사림(士林)의 종주(宗主)가 됨.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으로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 됨.
1431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종호(金從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차남으로, 자여도 찰방(自如道察訪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종후(金鍾厚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김치만(金致萬)의 아들이며, 민우수(閔遇洙)의 문인(門人). 어려서부터 사부(詞賦)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,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.
1721~178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좌명(金佐明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영의정 김육(金堉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지냄. 영의정(領議政)ㆍ청릉부원군(淸陵府院君)에 추증되고, 현종의 묘정에 배향(配享)됨.
1616~167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주(金湊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낙안(樂安). 고려 말에 양광도(楊廣道)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고, 조선 초 한양천도(漢陽遷都) 때 종묘ㆍ사직ㆍ궁궐ㆍ관아 등을 짓는 데 공을 세웠으며, 밀양(密陽)의 영남루(嶺南樓)를 창건함.
?~140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주(金澍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선계변무사(璿系辨誣使)로 명(明)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.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.
1512~15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주영(金朱永)
고려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의원(金義元)의 아들로, 금오위 중랑장(金吾衛中郞將)을 역임하고 상장군(上將軍)에 추증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주원(金周元)
통일신라 때의 왕족. 혜공왕(惠恭王) 때 이찬(伊飡)으로 시중(侍中)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, 선덕왕(宣德王)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(江陵金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통일신라 , 강원도>강릉 , 인명>왕실>종친
-
김주정(金周鼎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ㆍ무신. 금오위대장군(金吾衛大將軍) 김경량(金鏡亮)의 아들로,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(昭勇大將軍左右副都統) 등을 역임하였고, 호두금패(虎頭金牌)를 하사받음.
?~129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준(金俊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울산(蔚山)으로,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 고부 군수(古阜郡守)를 지낸 김응두(金應斗)의 아버지. 1504년(연산군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준(金俊)@고려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무신. 최우(崔瑀)에게 발탁된 후 최의(崔竩)를 죽이고 실권을 장악함. 탐학(貪虐)을 일삼다가 왕권 강화를 도모하던 원종(元宗)에 의해 참살됨.
?~1268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준(金峻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책(金策)의 아버지로, 좌복야(佐僕射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준(金嶟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우봉 현감(牛峯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준(金濬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김경제(金敬悌)의 아들로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박승임(朴承任)이 그에게 차운한 시가 《소고집(嘯皐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준례(金遵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성종(成宗) 때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낸 김맹성(金孟性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