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준손(金俊孫)
조선 예종(睿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에 분의정국공신(奮義靖國功臣)에 책록됨. 연기김씨(燕岐金氏)의 시조.
1446~152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연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준손(金浚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서녀(庶女)가 구수영(具壽永)의 서자인 구인손(具麟孫)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준손(金駿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일손(金馹孫)의 맏형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(湖南)에서 연산군(燕山君)의 난정(亂政)을 규탄하는 천위사(遷位事)를 조야에 전격(傳檄)함.
1454~150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권(金仲權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금양(金壤). 이규보(李奎報)의 외조부. 울진 현위(蔚珍縣尉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통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로(金仲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를 지낸 김맹권(金孟權)의 아버지로, 감찰(監察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로(金仲魯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중종(中宗) 때의 생원 김계정(金繼貞)의 아버지로, 효력부위(效力副尉)에 오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중문(金仲文)
조선 전기의 유학. 소수서원(紹修書院)의 유사(有司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중서(金仲舒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오수 찰방(獒樹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시(金仲始)
고려 후기의 문신. 사보(思補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엄(金仲淹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성종(成宗) 때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김뉴(金紐)의 아버지. 왕세자 시절 문종(文宗)의 빈(嬪)이었던 휘빈(徽嬪)의 오빠로 부지돈녕부사(副知敦寧俯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중연(金仲演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김자행(金自行)의 아들로, 공조 좌랑(工曹佐郞)ㆍ군수(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청(金中淸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몽호(金夢虎)의 아들. 박승임(朴承任)ㆍ조목(趙穆)ㆍ정구(鄭逑)의 문인. 정언(正言)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(李元翼)을 탄핵하라는 대북파(大北派) 정인홍(鄭仁弘)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.
1567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중행(金仲行)
조선 전기의 외척ㆍ문신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넷째 아들 낙안군(樂安君) 이녕(李寧)의 장인. 군자감 주부(軍資監主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증손(金曾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김황(金黃)과 김벽(金碧)의 아버지. 보천 교수(甫川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지(金墀)@조선전기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정황(丁熿)의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칠언절구(七言絶句) 〈정김군자헌(呈金君子獻)〉이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지(金墀)@김종손의아들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종손(金宗孫)의 아들로, 문의 현령(文義縣令)을 지냄.
1455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지(金漬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치화(金致和)의 아들로, 1456년(세조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(林川郡守)을 지냄. 시를 잘 짓고 음율(音律)에도 조예가 깊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지(金祉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김사순(金思順)의 아들로, 1362년(공민왕 11) 문과에 급제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지(金輊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김자흠(金子欽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지경(金之慶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중종(中宗)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(金應箕)의 아버지로, 공조 참판(工曹參判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419~14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