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집(金緝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시좌(金時佐)의 아들로,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양산 군수(梁山郡守) 등을 지냄.
1530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집(金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장생(金長生)의 아들로, 예학(禮學)을 대성시킴.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내고, 효종과 북벌(北伐)을 계획함.
1574~165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징(金澄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가 지은 〈봉증김자호변여윤(奉贈金子浩卞汝潤)〉이라는 시가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찬(金瓚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형조 참의(刑曹參議) 김언침(金彦沈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동인(東人)의 영수 이산해(李山海)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, 일본과의 강화(講和)에서 공을 세움.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.
1543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찬(金巑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면천(沔川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(幼學) 김경원(金景元)의 아버지. 절충장군(折衝將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면천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찬선(金纘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안로(金安老)의 손자로, 1569년(선조 2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감정(監正) 등을 역임함.
153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창(金敞)
고려 후기의 문신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의 이종사촌으로, 덕원군(德原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창즙(金昌緝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영의정(領議政) 김수항(金壽恒)의 다섯째 아들. 조봉원(趙逢源)의 문인이며, 여섯 형제들이 문장의 대가(大家)라 육창(六昌)이라 불림. 아버지 김수항이 사사된 뒤 학문에 전념하였고, 예빈시 주부(禮賓寺主簿)를 지냄.
1662~171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창집(金昌集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영의정 김수항(金壽恒)의 아들이자 김창협(金昌協)의 형. 노론(老論)의 대표 인물로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냈으나, 경종의 후사로 연잉군(延礽君:영조)를 세웠다가 신임사화(辛壬士禍)로 죽임을 당함.
1648~172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영평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창협(金昌協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영의정 김수항(金壽恒)의 아들이자 김창집(金昌集)의 동생.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(己巳換局) 이후 은거함. 이황(李滉)과 이이(李珥)의 이기론(理氣論)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, 《농암집(農巖集)》을 남김.
1651~170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영평ㅣ경기도>과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창흡(金昌翕)
조선 현종(顯宗)~경종(景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(領議政) 김수항(金壽恒)의 셋째 아들로,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(永平)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.
1653~172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영평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책(金策)
고려 광종(光宗) 때의 문신. 처음 과거제도(科擧制度)가 도입된 후 실행된 조익방(趙翌榜) 시험에서 문과에 장원 급제를 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천(金蕆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낸 김영후(金永煦)의 아들로, 부지밀직사사(副知密直司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천령(金千齡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김만균(金萬鈞)의 아버지.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를 지냈으며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69~150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천록(金天祿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삼별초의 난 때 진도(珍島)에서 김방경(金方慶)을 위기에서 구하였고, 1274년(충렬왕 1) 일본정벌에서도 전공을 세움. 도첨의시랑찬성사(都僉議侍郞贊成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천명(金天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륭(金隆)이 지은 〈차한익부익지김여순증별운(次韓益夫益之金汝順贈別韻)〉이라는 시가 《물암집(勿巖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천부(金天富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벽(金碧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진사시에 입격하여, 김제 군수(金堤郡守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천서(金天瑞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조선 제2대 왕 정종(定宗)의 비(妃) 정안왕후(定安王后)의 아버지로, 월성부원군(月城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천손(金千孫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도(珍島). 중종(中宗) 때의 진사 김초(金軺)의 아버지로, 어모장군(禦侮將軍)을 역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천영(金千英)
조선 후기의 유학. 선조(宣祖) 때의 직장(直長) 김태명(金泰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아우인 김백영(金百英)과 함께 김천일(金千鎰)의 의병(義兵)에 참가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