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천우(金天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벽(金碧)의 아들. 예문관 응교(藝文官應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천일(金千鎰)@1622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중기(金重器)의 아들이고 정온(鄭蘊)의 문인으로, 춘추관(春秋官)ㆍ편수관(編修官) 등을 지냄. 저서에 《송천집(松川集)》이 있음.
1622~16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천일(金千鎰)@1537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언침(金彦琛)의 아들이며, 이항(李恒)의 문인(門人).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(倡義起兵)하여 수원(水原)ㆍ강화도(江華島)에서 전공을 세우고, 2차 진주성(晉州城)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.
1537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철산(金鐵山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문(金問)의 아들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첨(金瞻)@1354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태조(太祖)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, 조선 초기에 도교(道敎) 부흥을 위해 노력함.
1354~141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첨(金瞻)@1542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전한(典翰) 김홍도(金弘度)의 아들. 이이(李珥)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(知禮縣監)으로 좌천되고, 1584년(선조 17)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죽음.
1542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첨경(金添慶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윤개(尹漑)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(金虯) 등을 구원하고, 천추사(千秋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 역학(易學)과 경학(經學)에 밝음.
1525~158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청(金淸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치장(金致章)의 아들. 1553년(명종 8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(宣川郡守)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, 박순(朴淳)과 교유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초(金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도(珍島). 충무위 사용(忠武衛司勇)을 지낸 김천손(金千孫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추(金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울주(蔚州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 김대명(金大鳴)의 아버지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추(金錘)
조선 전기의 문신. 선산(善山)에 거주함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관련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추산(金楸山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극인(丁克仁)의 《불우헌집(不憂軒集)》에 〈기김화헌(寄金花軒)〉이라는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춘(金春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응상(金應商)의 아들로, 무주 현감(茂朱縣監)을 지냄.
1503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춘(金春)@고려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부령부원군(扶寧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춘경(金春卿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인민(金仁民)의 아들로,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를 지냄.
144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춘택(金春澤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종조부 김만중(金萬重)에게 수학하고, 노론(老論)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. 시문(詩文)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《구운몽(九雲夢)》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.
1670~171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충(金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산(商山). 호조 정랑(戶曹正郞)ㆍ교감(校勘)ㆍ선공감 정(繕工監正) 등을 지내고, 《서대이문록(西臺異聞錄)》을 지음.
1513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충갑(金忠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헌납(獻納)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벽서(壁書)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.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(死後) 보조공신(輔祚功臣)에 추증됨.
1515~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충남(金忠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ㆍ문인. 본관은 광산(光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를 좇아 문학에 명성이 있었으며 향교를 중수하여 유학를 부흥시킴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문사>문인
-
김충원(金忠元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김응회(金應會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