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충한(金冲漢)
고려 후기의 유학.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(出仕)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((杜門洞七十二賢) 중 한 사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충효(金忠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고경명(高敬命)의 《제봉집(霽峯集)》에 〈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(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)〉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취려(金就礪)@고려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으로, 김부(金富)의 아들. 거란군(契丹軍)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.
?~123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취려(金就礪)@조선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산(安山). 연성군(蓮城君) 김정경(金定卿)의 후손으로,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효자로 천거되어 사복시 정(司僕寺正)ㆍ수원부사(水原府使) 등을 지냄.
1527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취문(金就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광좌(金匡佐)의 아들로, 형 취성(就成)과 함께 박영(朴英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 됨.
1509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취빈(金就彬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광좌(金匡佐)의 아들. 1555년(명종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후릉 참봉(厚陵參奉)을 지냄.
15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취성(金就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김광좌(金匡佐)의 아들.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,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.
1492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취정(金就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광필(金匡弼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(金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부사(府使) 김시회(金時晦)의 아들로, 상락군(上洛君) 김시민(金時敏)에게 출계함.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(大北)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77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(金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흡곡 현령(歙谷縣令)을 지낸 김숙춘(金叔春)의 아버지로, 현령(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구(金致九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일손(金馹孫)의 증손자이며, 조헌(趙憲)의 문인으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만(金致萬)
조선 경종(景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(李縕)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. 시직(侍稷)을 역임함.
1697~175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양(金致陽)
고려 성종(成宗)~목종(穆宗) 때의 외척ㆍ권신. 경종(景宗)의 비 헌애왕후(獻哀王后)와 사통하여 목종 즉위후 권력을 휘두르고 역모를 꾀하다가, 강조(康兆)에게 살해됨.
?~1009 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왕실>인척
-
김치운(金致運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김인령(金引齡)의 아버지로, 봉상시 정(奉常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운(金致雲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낸 김선(金鏇)의 아들로, 수찬(修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인(金致仁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영의정 김재로(金在魯)의 아들로,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. 전고(典故)에 정통하여 1785년(정조 9)에 《대전통편(大典通編)》 편찬을 주관함.
1716~179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치정(金致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종혁(金從革)의 아들이고, 삼척 도호부사(三陟都護府使) 김희삼(金希參)의 아버지이며, 동강(東岡) 김우옹(金宇顒)의 조부. 승정원 좌승지(承政院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치화(金致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연안(延安). 임천 군수(林川郡守)를 역임한 문신 김지(金漬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탁(金鐸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김장생(金莊生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에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탄(金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정주 목사(定州牧使)를 지낸 김부인(金富仁)의 아들. 구봉령(具鳳齡)이 지은 만사(輓詞)가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