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탄행(金坦行)
조선 후기의 문신. 영의정 김창집(金昌集)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(金濟謙)의 아들. 신임옥사(申壬獄事)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(錦山)에 유배되고, 영조(英祖)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714~177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태경(金泰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김당(金璫)과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낸 김선(金鏇)의 아버지. 원주 목사(原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태명(金泰溟)
조선 후기의 문신. 직장(直長)을 지냈으며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이 의병(義兵)을 모집할 때 노비 수십 명과 양식을 두 아들 편에 보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태복(金泰福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부안(扶安). 창락도 찰방(昌樂道察訪) 김광(金光)의 아들로, 1585년(선조 1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(靈光城)을 지킴.
1552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태암(金泰巖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김조양(金調陽)의 아들. 김정(金淨)ㆍ성운(成運)과 교우가 두터웠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삭직되어 고향에서 죽음.
1477~155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태정(金泰廷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찰방(察訪) 김백간(金伯幹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들과 교유하였으며,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 등을 지냄. 《퇴계집(退溪集)》에 그의 문목(問目)에 답한 글이 실려 있음.
1541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태정(金台鼎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. 상호군(上護軍) 김자휘(金自輝)의 아들. 1450년(세종 32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.
1426~147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
-
김태현(金台鉉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수(金須)의 아들. 《동국문감(東國文鑑)》을 편찬함.
1261~133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택룡(金澤龍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조목(趙穆)에게 학문을 배웠으며, 이황(李滉)의 문하생들과 교유함.
1547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팔원(金八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주세붕(周世鵬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예조 좌랑(禮曹佐郞)ㆍ용궁 현감(龍宮縣監) 등을 지냄.
1524~1589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패연(金沛然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정(李楨)의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포(金浦)
경기도 북서쪽 한강(漢江) 하구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조선시대 한양(漢陽)의 관문이며, 김포평야(金浦平野)를 끼고 있어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임.
경기도>김포 , 지명>행정지명
-
김표(金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경상 감사(慶尙監司)를 지낸 김지남(金止男)의 생부.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역임함.
1508~15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필(金㻶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으로, 헌납(獻納) 김괴(金塊)의 아버지. 경기 관찰사(京畿觀察使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필(金珌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식(金湜)의 문인으로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하(金何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김자지(金自知)의 아들.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 나라 사신을 접대하고 자주 중국에 내왕하였음.
?~146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하(金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김세업(金世業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한(金僩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수의부위(修義副尉) 김세묵(金世默)의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한림(翰林) 등을 역임함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한(金澣)
조선 제2대 정종(定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안산(安山). 연성군(蓮城君) 김정경(金定卿)의 아들로, 정종의 넷째 딸인 고성옹주(高城翁主)와 혼인하였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09~148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안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한걸(金漢傑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성(開城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으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