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우봉이씨(牛峯李氏)
고려시대에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내고 잠성부원군(岑城府院君)에 봉해진 이공정(李公靖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황해도>우봉 , 인명>집단>성씨
-
우사인(禹思仁)
조선 전기의 문신.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참봉(參奉)을 지냈으며, 효행으로 정려(旌閭)를 받음.
1527~?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우상(禹鏛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,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) 우인손(禹仁孫)의 아들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으로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07~156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선언(禹善言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본관은 단양(丹陽). 노자(老子)ㆍ장자(莊子)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(淸談派)의 한 사람으로, 자신을 죽림칠현(竹林七賢)에 비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우성범(禹成範)
고려 제34대 공양왕(恭讓王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단양(丹陽). 우현보(禹玄寶)의 손자이자, 우홍수(禹洪壽)의 아들로, 공양왕의 둘째 딸 정신궁주(貞信宮主)와 혼인함. 공양왕이 폐위되자 다른 부마들과 함께 개경(開京)의 회보문(會寶門) 밖에서 참수됨.
?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인척
-
우성윤(禹成允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한훤당(寒暄堂)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우성전(禹性傳)의 조부.
1473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성전(禹性傳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동인(東人)이었다가 이발(李潑)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(南人)의 거두가 됨.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, 해염(海鹽)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.
1542~159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세남(虞世南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. 고야왕(顧野王)에게 수학하고, 왕희지(王羲之)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(歐陽詢)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렸으며, 특히 해서(楷書)에 뛰어남.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.
558~63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우세남집(虞世南集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인 우세남(虞世南)의 저서. 30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우세신(禹世臣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우엄(禹淹)의 아들로, 1552년(명종 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(宗簿寺正) 등을 지냄.
1518~159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송집(友松集)
조선 후기의 문인인 김세규(金世奎)의 시문집. 2권 2책. 목활자본. 1918년 후손 김용환(金容煥)ㆍ김태현(金泰鉉) 등에 의해 간행됨. 정약용(丁若鏞)ㆍ조익현(曺翊鉉)의 서문과 나경(羅炅)의 후서가 실려 있음.
1918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우수(禹樹)
조선 전기의 유학. 강희맹(姜希孟)의 조카사위로, 강희맹이 그에게 자(字)를 지어 주고 그 의미를 기록한 것이 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우순(禹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엄흔(嚴昕) 등과 죽마계(竹馬契)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《십성당집(十省堂集)》에 실려 있음.
1504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우순필(禹舜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조욱(趙昱)과 교유하였으며, 조욱이 그에 관해 노래한 시가 《용문집(龍門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우승유(牛僧孺)
중국 당(唐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고공원외랑(考功員外郞) 등을 지내고,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. 이종민(李宗閔)과 붕당(朋黨)을 만들어 이덕유(李德裕) 일파와 정쟁을 벌임.
779~84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신행(于愼行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상중(喪中)에 출사한 장거정(張居正)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,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(太子少保) 등을 지냄. 풍기(馮琦)와 함께 문학(文學)으로 명성을 떨침.
1545~160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우암(愚巖)
경상도 예안(禮安) 오천리(烏川里)에 있던 암벽 이름. 낙동강(洛東江)을 굽어보고 있으며, 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 김만균(金萬鈞)이 이곳에 침류정(枕流亭)을 세움.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(安東市) 풍산읍(豐山邑)에 속함.
경상도>예안 , 지명>자연지명
-
우암고(寓菴稿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홍언충(洪彦忠)의 저서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우암유집(寓庵遺集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김주(金澍)의 시문집. 7권 1책. 목판본. 1789년(정조 13) 6대손 김래(金䅘)에 의해 간행되고, 이복원(李福源)의 서문과 김래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78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우암집(尤庵集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(宋時烈)의 시문집. 167권 63책. 활자본. 1717년(숙종 43)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, 1787년(정조 11) 《송자대전(宋子大全)》으로 집대성됨.
171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