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우언겸(禹彦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,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낸 우성전(禹性傳)의 생부. 1537년(중종 3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ㆍ안동 판관(安東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엄(禹淹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종부시 정(宗簿寺正)을 지낸 우세신(禹世臣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예손(禹禮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부령 부사(富寧府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외손인 이제신(李濟臣)이 지은 지문(誌文)이 《청강집(淸江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우왕(禑王)
고려 제32대 국왕. 재위 1374~1388. 수시중(守侍中) 이인임(李仁任)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(李成桂)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.
1365~138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우운(友雲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. 시중(侍中) 김륜(金倫)의 아들.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(華嚴宗)의 승려가 되었으며, 현수교관(賢首敎觀)을 깊이 익힘.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우율제(于栗磾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북위(北魏)의 무신. 무예(武藝)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(黑矟)을 즐겨 사용했는데, 송(宋) 무제(武帝) 유유(劉裕)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(黑槊公)이라고 일컬었더니, 명원제(明元帝)가 흑삭장군(黑槊將軍)이란 명호를 주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우이당쟁(牛李黨爭)
중국 당(唐) 나라의 목종(穆宗)~무종(武宗) 연간에 우승유(牛僧孺)ㆍ이종민(李宗閔)이 당파를 결성하여 이길보(李吉甫)ㆍ이덕유(李德裕) 부자와 맞서 대립한 사건. 과거 출신 관료와 귀족 관료 사이의 당쟁으로, 820년경부터 40년간 격렬한 정쟁이 계속됨.
중국>당 , 중국 , 사건>사화
-
우인손(禹仁孫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을 지낸 우상(禹鏛)의 아버지로,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우정국(于定國)
중국 한(漢) 나라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문신. 우공(于公)의 아들로, 승상(丞相)을 지냄. 아버지 우공이 옥사(獄史)로 있을 때 판결로 선행을 쌓아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다는 고사가 전함.
?~B.C.4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정집(憂亭集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극성(金克成)의 시문집. 6권 3책. 목활자본. 1860년(철종 11) 후손 김영수(金永秀)ㆍ김헌수(金憲秀) 등에 의해 편집ㆍ간행됨. 송내희(宋來熙)의 서문과 정귀석(鄭龜錫)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860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우제(于濟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. 칠언절구(七言絶句)의 작시법(作詩法)을 실제적으로 제시한 《연주시격(聯珠詩格)》을 편저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우제(禹磾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, 우천계(禹天啓)의 아들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과 김용(金鏞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, 최영(崔瑩)ㆍ이성계(李成桂) 등과 함께 최유(崔濡)를 격퇴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우조(羽調)
악곡(樂曲)에 쓰이는 악조(樂調)의 명칭 가운데 하나.
기타>가무
-
우종손(禹從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경조윤(京兆尹) 우맹선(禹孟善)의 아버지로, 동래 현령(東萊縣令) 등을 지냄.
1457~153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우준겸(禹俊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우성윤(禹成允)의 아들이며, 대사성(大司成)을 지낸 우성전(禹性傳)의 아버지.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, 사옹원 봉사(司饔院奉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집(虞集)
중국 원(元) 나라의 시인ㆍ학자. 당시(唐詩)를 연구 계승하여, 양재(楊載)ㆍ범곽(范椁)ㆍ게혜사(揭傒斯)와 함께 원시사대가(元詩四大家)로, 또는 유관(柳貫)ㆍ황진(黃溍)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(儒林四傑)로 불림. 만권당(萬卷堂)에 초치(招致)되어 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류함.
1272~1348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우천계(禹天啓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찬성사(贊成事) 우제(禹磾)의 아버지이며, 우천규(禹天珪)의 동생으로, 판서(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천규(禹天珪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성균좨주(成均祭酒) 우탁(禹倬)의 아버지로, 남성전서 문하시중(南省典書門下侍中)에 증직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탁(禹倬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영해 사록(寧海司錄)이 되어 요신(妖神)의 사당(祠堂)을 철폐하고, 충선왕(忠宣王)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.
1263~134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우헌집(寓軒集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인 유세명(柳世鳴)의 시문집. 8권 4책. 목판본. 유종춘(柳宗春)ㆍ유상춘(柳象春) 등이 간행을 준비하였으며, 1833년(순조 33) 유태좌(柳台佐)의 주관 하에 간행됨. 유의목(柳懿睦)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83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