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우현보(禹玄寶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.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(李芳遠)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.
1333~140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우홍(牛弘)
중국 수(隋) 나라의 문신.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,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《소학(小學)》에 전함.
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우홍수(禹洪壽)
고려 우왕(禑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단양백(丹陽伯) 우현보(禹玄寶)의 아들이며, 단양군(丹陽君) 우성범(禹成範)의 아버지. 1389년(창왕 1) 김저(金佇)의 옥사에 연루되어 인주(仁州)에 유배되고, 1392년(태조 1) 정도전(鄭道傳)의 모함을 받아 순천(順天)에 유배되었다가 장살됨.
1355~139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희다수가(宇喜多秀家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~강호시대(江戶時代) 때의 무신. 풍신수길(豊臣秀吉)의 부하로, 임진왜란 때 행주(幸州) 싸움에서 대패하고, 정유재란 때 남원(南原)ㆍ전주(全州)를 점령하였다가 퇴각함.
1573~1655 일본>강호시대ㅣ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욱리자(郁離子)
중국 원(元)~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기(劉基)의 우언식(寓言式) 산문집. 원 왕조가 명 왕조로 교체되기 직전의 대변혁기에 새로운 왕조의 탄생을 위해 저술됨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욱사(旭師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문집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그를 읊은 시가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^소(雲^韶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(黃帝)가 지었다는 음악인 운문악(雲門樂)과,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인 소소(簫韶)를 함께 부르는 말. 제왕의 음악을 가리킴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운^항(運^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성운(成運)과 이항(李恒)을 함께 부르는 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운강집(雲岡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공용경(龔用卿)의 저서. 20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계집(雲溪集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학자인 왕질(王銍)의 저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곡사(雲谷祠)
조선 정조(正祖) 때 전라도 흥양(興陽)에 건립한 사당. 유몽인(柳夢寅)ㆍ정운희(丁運熙) 등을 배향하였으나, 1868년(고종 5)에 훼철됨. 현재 전라남도 고흥군(高興郡)에 속함.
178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양 , 유적>건물>사당
-
운곡서원(雲谷書院)@경주
조선 정조(正祖) 때 경상도 경주(慶州)에 건립한 서원. 권행(權幸)ㆍ권산해(權山海)ㆍ권덕린(權德麟) 등을 배향함. 1868년(고종 5)에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.
178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운곡서원(雲谷書院)@충주
조선 현종(顯宗) 때 충청도 충주(忠州)에 건립한 서원. 1602년(선조 35) 백운서당(白雲書堂)에 주자(朱子)를 모시고 백운서원(白雲書院)이라 하였다가 1661년(현종 2)에 운곡서원이라 함. 1676년(숙종 2) 사액되었으며, 주자ㆍ정구(鄭逑) 등을 배향함. 현재 충청북도 음성군(陰城郡)에 속함.
166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운곡행록(耘谷行錄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인 원천석(元天錫)의 시문집. 5권 3책. 활자본. 1858년(철종 9) 16대손 원은(元櫽)이 간행함. 행록(行錄)과 사적(事蹟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박동량(朴東亮)과 정장(鄭莊)ㆍ정범조(丁範祖)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85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두성(雲頭城)
함경도 회령(會寧)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(石城). 둘레는 10여 리로,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(豆滿江)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.
함경도>회령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운몽택(雲夢澤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동정호(洞庭湖) 북쪽에 있던 못 이름. 고대에는 초(楚) 나라 지역에 속하였으며, 원래는 운택(雲澤)과 몽택(夢澤) 두 개의 못이었으나 후대에 합칭(合稱)한 것이라 함. 큰 못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용어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운문광록(雲門廣錄)
중국 당(唐) 말~오대(五代)의 선승(禪僧)인 운문선사(雲門禪士) 문언(文偃)의 어록. 3권. 문언의 언행 및 제자들과의 문답을 기록함.
958 중국>오대십국ㅣ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문산(雲門山)
경상도 청도(靑道)의 동쪽 96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. 기암괴석과 계곡이 절경을 이루며, 현재 경상남도 청도군 운문면(雲門面)과 경상북도 밀양시(密陽市) 산내면(山內面)의 경계에 속함.
경상도>청도 , 지명>자연지명
-
운문산(雲門山)@중국
중국 광동성(廣東省) 소주(韶州)에 있는 산 이름. 문언(文偃)을 종조(宗祖)로 하는 선종(禪宗)의 한 파인 운문종(雲門宗)이 이곳에서 나옴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운문악(雲門樂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(黃帝)가 지었다는 음악 이름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