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미(雲美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승려. 만악산(萬嶽山) 용암사(龍巖寺)의 주지로, 존도(存道)와 함께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최충헌(崔忠獻)이 집권한 이후 왕궁에서 쫓겨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봉(雲峯)@지명
전라도 남원(南原)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지리산(智異山)의 서쪽에 위치하며, 호남(湖南)과 영남(嶺南)의 경계 지역을 이룸.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(南原市)에 속함.
전라도>운봉 , 지명>행정지명
-
운봉(雲峯)@인명
조선 전기의 승려. 무본(無本)의 제자. 18세에 도과(道科)에 합격하고 28세에 주지가 되었으나 사양한 뒤, 산중에 암자를 짓고 평생을 지냄. 술과 바둑을 좋아하고 시를 잘 지음. 《탁영집(濯纓集)》에 〈증상인운봉서(贈上人雲峯序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봉집(雲峰集)
중국 원(元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인 호병문(胡炳文)의 문집. 20권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부군옥(韻府群玉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학자인 음유우(陰幼遇)가 짓고 동생 음유달(陰幼達)이 주석한 사전. 운(韻)을 구분하여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함. 2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사(雲師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문집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그를 읊은 시가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산서원(雲山書院)
조선 순조(純祖) 때 경상도 영덕(盈德)에 세운 서원. 백문보(白文寶)ㆍ백현룡(白見龍)을 제향함.
181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덕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운산집(雲山集)
조선 고종(高宗) 때의 문신인 이휘재(李彙載)의 문집. 13권.
1923 한국>근대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운수(雲叟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승려. 계룡산(鷄龍山) 가섭암(迦葉菴)을 중창(重創)했으며, 그 전말이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암(雲庵)
조선 전기의 승려. 신광한(申光漢)의 《기재집(企齋集)》에 그와 관련한 시가 2수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암사(雲巖祠)
조선 숙종(肅宗) 때 전라도 광산(光山)에 건립한 사우(祠宇). 송제민(宋齊民)ㆍ권필(權韠) 등을 제향함.
170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당
-
운암일기(雲巖日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김명일(金明一)이 쓴 일기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암잡록(雲巖雜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성룡(柳成龍)이 저술한 책. 필사본. 1책. 주로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내용을 다루었으며, 주요 관련 인물인 심의겸(沈義謙)ㆍ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ㆍ정철(鄭澈)ㆍ최영경(崔永慶) 등의 행적을 기록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재집(芸齋集)
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귀화인인 설장수(偰長壽)의 문집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운전서원(雲田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함경도 함흥(咸興)에 건립한 서원. 1727년(영조 3)에 사액되었으며, 정몽주(鄭夢周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ㆍ송시열(宋時烈)ㆍ조헌(趙憲)ㆍ민정중(閔鼎重) 등을 배향함.
1667 한국>조선후기 , 함경도>함흥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운제록(雲堤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항(姜沆)이 지은 시문집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주(鄆州)
중국 산동성(山東省)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수(隋) 나라 때 설치되었으며, 북송(北宋) 말에 동평부(東平府)로 개칭됨. 치소(治所)는 만안(萬安)으로, 후에 운성(鄆城)으로 개칭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운주(雲州)
중국 산서성(山西省) 대동시(大同市)의 옛 이름. 서한(西漢)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(北魏) 때의 도읍지이며, 오대(五代) 때에는 연운십육주(燕雲十六州)에 포함되어 요(遼) 나라에 할양됨.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운중(雲中)
중국 북부 내몽고(內蒙古)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춘추전국시대 조(趙) 나라 때 설치되었으며, 이후 선비(鮮卑)와 흉노(匈奴) 등 북방 이민족들의 주요 활동 무대가 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운평집(雲坪集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능상(宋能相)의 문집. 순조(純祖) 초에 제자이자 족질인 송환기(宋煥箕)에 의해 10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