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학집(雲壑集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서법가인 오거(吳琚)의 문집. 산일되어 전하지 않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흥사(雲興寺)
통일신라 효공왕(孝恭王) 때 도선국사(道詵國師)가 전라도 나주(羅州)의 덕룡산(德龍山)에 창건한 사찰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울릉도(鬱陵島)
울진(蔚珍)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. 지증왕(智證王)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. 조선 숙종(肅宗) 때 안용복(安龍福)이 월경(越境)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(伯耆島主)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.
강원도>울진 , 지명>자연지명
-
울산(蔚山)
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.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,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(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)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.
경상도>울산 , 지명>행정지명
-
울산김씨(蔚山金氏)
통일신라 경순왕(敬順王)의 아들로 학성부원군(鶴城府院君)에 봉해진 김덕지(金德摯)를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울산 , 인명>집단>성씨
-
울지공(尉遲恭)
중국 수(隨) 말~당(唐) 초의 무신. 수 나라 말에 유무주(劉武周)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(李世民)을 따라 왕세충(王世充)ㆍ두건덕(竇建德) 등을 격퇴하고, 현무문(玄武門)의 변(變)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.
585~658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울진(蔚珍)
강원도 동쪽 해안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동해 중부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, 지금의 울진은 옛 울진과 평해(平海)가 합하여 이루어짐. 지금은 경상북도 울진군(蔚珍郡)에 속함.
강원도>울진 , 지명>행정지명
-
울진장씨(蔚珍張氏)
고려 정종(靖宗) 때 문하시중(門下侍中)으로 울진부원군(蔚珍府院君)에 봉해진 장말익(張末翼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울진 , 인명>집단>성씨
-
웅절(熊節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서실(書室)을 지인당(智仁堂)이라고 했으며, 저서에는 《성리군서구해(性理群書句解)》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웅천(熊川)
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. 조선시대에 제포(薺浦)와 왜관(倭館)을 통하여 대일(對日)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.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(鎭海市)ㆍ창원시(昌原市) 등에 편입됨.
경상도>웅천 , 지명>행정지명
-
웅화(熊化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1609년(광해군 1)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제가 보낸 선조(宣祖)에 대한 제(祭)와 시호(諡號) 및 부의(賻儀)를 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웅화(熊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무이산(武夷山)에 들어가 홍원서당(洪源書堂)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, 사서(四書)를 주소(註疏)함.
1135~119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원(元)
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(征服王朝).
1271~1368 중국>원 , 중국 , 시간>국명
-
원^백(元^白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(元稹)과 시인인 백거이(白居易)를 함께 부르는 말. 시문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원^서(原^胥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의 재상인 오운(伍員)과 초(楚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굴원(屈原)을 함께 부르는 말. 충간(忠諫)하다가 억울하게 죽은 자를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원^이(元^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으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에 참전한 원균(元均)과 이순신(李舜臣)을 함께 부르는 말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ㅣ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원^한(元^韓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무신인 원적(元績)과 한온(韓蘊)을 함께 부르는 말.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달량포(達梁浦)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사람을 가리킴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원가갈(袁家渴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영주(永州)에 있던 명승지의 하나. 지산(芝山)의 성 남쪽에 있으며, 대대로 원씨(袁氏)들이 살던 곳으로, 모래톱에 있는 돌섬으로 인해 물이 역류하는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. 유종원(柳宗元)의 〈원가갈기(袁家渴記)〉가 전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원각경소(圓覺經疏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승려인 기화(己和)가 지은 《원각경(圓覺經)》에 대한 주석서. 당(唐) 나라 규봉(圭峰)의 《원각경대소(圓覺經大疏)》와 큰 이견이 있어 저술함. 3권 1책. 목판본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원각사(圓覺寺)
서울 종로(鍾路)에 있었던 사찰. 조선 세조(世祖) 때 중건하였으며, 연산군(燕山君) 때 기방(妓房)이 되었다가 중종(中宗) 때 훼철됨. 국왕의 원찰(願刹) 및 국찰(國刹)로서의 기능을 함.
1464~151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사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