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원감국사집(圓鑑國師集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인 원감국사(圓鑑國師) 충지(冲止)의 문집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원개(元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. 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유학(遊學)하였으며, 고행(高行)으로 참봉(參奉)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음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원결(元結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,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.
723~77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원경(元鏡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고구려에 파견된 팔학사(八學士) 가운데 한 명으로, 고구려 보장왕(寶藏王) 즉위에 공을 세웠다고 함. 원주원씨(原州元氏)의 시조.
한국>고구려 , 중국ㅣ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경왕후(元敬王后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비(妃).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, 태종 즉위 후 빈어(嬪御)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.
1365~142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ㅣ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원계신(元繼信)
조선 전기의 유학. 신천 군수(信川郡守)를 지낸 이창형(李昌亨)의 사위로, 권호문(權好文)의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원계채(元繼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대사성(大司成)과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를 역임하였음. 외교문서 작성에 능하여 사신으로 많이 파견되었으며, 명(明) 나라에 다녀오던 중 죽었음.
1492~153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원고옥(元高沃)
고려 후기의 유학. 그를 전송하는 시(詩)가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원광정사(遠光精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권눌(權訥)이 와룡산(臥龍山) 아래에 지은 정사(精舍). 이곳에서 후진을 양성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사제
-
원교(員嶠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. 오도(五島)의 하나.
고대 , 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원교집(圓嶠集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학자인 이광사(李匡師)의 문집. 10권 4책. 필사본. 이광사가 유배 때에 지은 시문을 모아둔 것을 바탕으로 편찬했으나, 간행 연대나 편찬 과정이 불확실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원균(元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임진왜란 때 이순신(李舜臣)과 합세하여 옥포(玉浦) 등지에서 연승함.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(三道水軍統制使)가 되었으나, 정유재란 때 칠천량(漆川梁)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함.
1540~1597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원극유(元克猷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개국공신. 병부령(兵部令)을 지냈으며 원성백(原城伯)에 봉해짐. 원주원씨(原州元氏) 원성백파(原城伯派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원단구(元丹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. 신선술(神仙術)을 좋아하였으며, 이백(李白)과 교유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원당(原黨)
조선 인조(仁祖) 때 공서(功西)가 분열되면서 원두표(元斗杓)를 중심으로 형성된 당파. 원평부원군(原平府院君) 원두표가 낙흥부원군(洛興府院君) 김자점(金自點)과 권력다툼으로 대립하면서 각각 원당(原黨)ㆍ낙당(洛黨)으로 갈라짐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조직
-
원덕수(元德秀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, 명리(名利)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.
696~75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원도도(轅濤塗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陳) 나라 선공(宣公) 때의 대부. 제(齊) 나라 환공(桓公)이 채(蔡) 나라와 초(楚)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,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원두표(元斗杓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, 같은 공서(功西)였던 김자점(金自點)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(原黨)의 영수(領袖)가 됨. 병조 판서(兵曹判書)ㆍ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냄.
1593~1664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원록도(猿鹿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인 윤엄(尹儼)이 그린 그림. 견본담체화(絹本淡彩畵)로, 소나무ㆍ바위ㆍ사슴과 함께 원숭이 두 마리가 소나무 가지에 앉아서 한 마리는 손에 천도복숭아를 들고 있고, 한 마리는 복숭아를 먹고 있는 모습을 그림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원룡고와(元龍高臥)
손님 대접이 소홀함을 비유한 말. 중국 삼국시대 원룡(元龍)인 진등(陳登)이 자기를 찾아온 허사(許汜)를 아래 침대에서 자게 하고 자신은 윗 침대에서 잔 데서 유래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