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원맹현(元孟賢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.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낸 원주(元柱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원명선(元明善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조맹부(趙孟頫) 등과 함께 연경(燕京)의 만권당(萬卷堂)에 초빙되어 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류하였음.
1269~132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원부(元傅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원충(元忠)의 할아버지. 충렬왕 때 유경(柳璥)ㆍ김구(金坵) 등과 함께 《고종실록(高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. 《고금록(古今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첨의중찬(僉議中贊)에 오름.
1219~1287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분가(寃憤歌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홍섬(洪暹)이 지은 가사. 1537년(중종 32) 2년 여의 흥양(興陽) 유배에서 풀려난 뒤 유배 당했을 때의 심경을 읊음.
153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문헌>작품명
-
원붕(元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. 유학 원맹현(元孟賢)의 아들이며, 1569년(선조 2) 알성시(謁聖試)에 급제한 원사용(元士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원사(元史)
중국 원(元)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(正史). 명(明) 나라의 송렴(宋濂)ㆍ왕위(王緯) 등이 칙명으로 편찬함. 기(紀) 47권, 지(志) 53권, 표(表) 6권, 열전(列傳) 97권으로 구성됨.
1370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원사용(元士容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원붕(元鵬)의 아들로, 1569년(선조 2) 알성시(謁聖試)에 급제하였으며, 영천 군수(永川郡守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상(元庠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김저(金佇)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장단(長湍)에 은거함. 조선 개국 후 판중추원사(判中樞院事) 등을 역임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장단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생몽유록(元生夢遊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임제(林悌)가 지은 몽유록(夢遊錄) 계통의 한문 단편소설. 초야에 묻혀 살던 원자허(元子虛)가 꿈에 단종(端宗)과 사육신(死六臣)을 만나 세조(世祖)의 찬탈을 비난하며 비분강개하여 토론했다는 내용이 담김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원선지(元善之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충선왕(忠宣王)은 토번(吐番)으로 유배되고, 충숙왕은 원(元) 나라에 머물러 있어 동요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홀로 의리를 버리지 않았음.
1281~1330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섭(袁燮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육구연(陸九淵)의 제자로 그의 문집 서문을 쓰고 간행했으며, 예부 시랑(禮部侍郎)ㆍ직학사(直學士) 등을 역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원성어록(元城語錄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인 마대년(馬大年)이 스승 유안세(劉安世)의 가르침을 기록한 책. 3권, 부(附) 행록(行錄) 1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원성왕(元聖王)
신라의 제38대 국왕. 재위 785~798. 선덕왕(宣德王)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(金周元)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. 독서삼품과(讀書三品科)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.
?~798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원성왕후(元成王后)
고려 제8대 현종(顯宗)의 제3비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은부(金殷傅)의 딸로,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. 덕종(德宗)ㆍ정종(靖宗) 두 아들과 인평왕후(仁平王后)ㆍ경숙공주(景肅公主) 등을 낳음.
?~1028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원소(袁紹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~헌제(獻帝) 때의 무신. 영제가 죽자 환관들을 일소하려다가 실패한 뒤 동탁(董卓)을 낙양(洛陽)에서 몰아내고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였으나, 조조(曹操)와 결전을 벌였다가 대패하고 병사함.
?~20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원송수(元松壽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하여 공신에 책록되었으나, 신돈(辛旽)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신돈의 난정(亂政)을 개탄하다가 병사함.
1324~1366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원수(沅水)
중국 귀주성(貴州省)의 운무산(雲霧山)과 대산(大山)에서 발원하여 합쳐진 후 동류(東流)하여 호남성(湖南省)의 동정호(洞庭湖)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상수(湘水)ㆍ자수(資水)ㆍ예수(澧水)와 더불어 ‘사수(四水)’로 불림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원숙강(元叔康)
조선 세조(世祖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원호(元昊)의 손자.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.
?~1469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순조(元順祖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음서(蔭敍)로 충순위(忠順衛)가 되었고 보공장군(保功將軍)에 이르렀으나,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치사하고 물러남.
1469~1536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원술(袁術)
중국 후한(後漢) 말의 무신. 손견(孫堅)과 결탁하여 동탁(董卓)을 격파함으로써 명성을 얻음. 197년 구강(九江)에서 칭제(稱帝)하였으나 2년도 못 되어 조조(曹操)에게 패하도 원담(袁譚)에게 가는 도중 사망함.
?~19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