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원시사대가(元詩四大家)
중국 원(元) 나라 때의 관각문신(館閣文臣)인 우집(虞集)ㆍ양재(楊載)ㆍ범곽(范椁)ㆍ게혜사(揭傒斯) 네 명을 아울러 이르는 말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원씨장경집(元氏長慶集)
중국 당(唐) 나라 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(元稹)의 문집. 60권, 보유(補遺) 6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원안(袁安)
중국 후한(後漢) 명제(明帝)~화제(和帝) 때의 문신. 초왕 영(楚王英)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당하는 자가 속출할 때, 초군 태수(楚郡太守)로 부임하여 죄안을 다시 심사하여 풀어준 사람이 4백여 인에 이르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앙(袁盎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~경제(景帝) 때의 문신. 직간(直諫)하는 신하로 유명했는데 자주 직간하여 농서 도위(隴西都尉)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며, 양왕(梁王)에게 원망을 사서 살해당했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오(圓悟)
조선 전기의 승려. 영관(靈觀)ㆍ일선(一禪) 등 60여 명과 함께 스승 지엄(智嚴)에게서 대승경론(大乘經論)과 선(禪)을 사사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원오(圜悟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임제종(臨濟宗)의 승려. 종고(宗杲)에게 법을 전수함. 저서에 《벽암록(碧巖錄)》이 있음.
106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원우(元祐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연호(年號) 가운데 하나. 해당 연한 1086~1094. 이 시기에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던 구당파(舊黨派)들이 정권을 장악함.
1086~1094 중국>송 , 중국 , 시간>연호
-
원육전(元六典)
조선 태종(太宗) 때 하륜(河崙) 등이 편찬한 법전(法典). 《경제육전(經濟六典)》을 수정한 《경제육전원집상절(經濟六典元集詳節)》에서 문장 중의 이두(吏讀) 등을 빼고 편찬함.
141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원윤적(元允迪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원천석(元天錫)의 아버지로, 종부시 영(宗簿寺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윤조(元允祖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부호군(副護軍)을 지낸 원중치(元仲稚)의 아들로,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원익겸(元益謙)
고려시대의 문신.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시중(侍中)을 지냄. 원주원씨(原州元氏)의 중시조가 됨.
한국>고려시대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일(元日)
설날.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(名節). 조상에게 차례(茶禮)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(歲拜)를 드리며,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.
사건>풍속
-
원자(袁滋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유벽(劉辟)과 오원제(吳元濟)의 반란 때 평정에 실패하여 좌천되었다가 호남 관찰사(湖南觀察使) 등을 지냈으며, 성품이 너그럽고 글씨에 뛰어났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원재고(圓齋槀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문신인 정추(鄭樞)의 문집. 1418년(태종 18) 아들 정탁(鄭擢)이 영월(寧越)에서 3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.
1418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문헌>서명
-
원저(元宁)
고려 후기 이규보(李奎報)의 가전체 소설인 〈청강사자현부전(淸江使者玄夫傳)〉에 나오는 현부(玄夫)의 둘째 아들. 오(吳)와 월(越) 사이를 방랑하면서 자호(自號)를 통현선생(洞玄先生)으로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원적(元績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1519년(중종 14) 무과(武科)에 장원급제하였으며,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전라 병마절도사(全羅兵馬節度使)로서 달량포(達梁浦)에 침입한 왜적에 맞서 성을 지키다가 장흥 부사(長興府使) 한온(韓蘊) 등과 함께 살해됨.
?~1555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원제(元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초대 황제. 재위 317~322. 선제(宣帝) 사마의(司馬懿)의 증손자로 낭야왕(琅邪王)으로 봉해짐.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(建業)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, 서진(西晉)이 망하자 317년 동진(東晉) 왕조를 열었음.
276~32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원제(元帝)@남북조(양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제4대 황제. 재위 552~554. 아버지 무제(武帝)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.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《금루자(金樓子)》 등의 저서를 편(編)하기도 함.
508~55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원제(元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0대 황제. 재위 B.C.48~B.C.33. 학문을 좋아했으나 성품이 유약하여 정치를 주관하지 못해 부왕 선제(宣帝)가 이룬 왕업을 쇠미하게 하였음.
B.C.75~B.C.3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원종(元宗)@고려
고려 제24대 왕. 재위 1260~1274. 고종(高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(安惠太后柳氏). 한때 임연(林衍)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(元)의 도움으로 복귀함. 전민변정도감(田民辨整都監)을 설치하고, 강화도(江華島)에서 개성(開城)으로 환도(還都)하였으며, 삼별초(三別抄)의 난을 진압함.
1219~127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