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원풍(元豊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연호(年號) 가운데 하나. 해당 연한 1078~1085. 이 시기에 신종이 친정(親政)을 행하고 신법당(新法黨)인 채확(蔡確) 등이 집권하여 신법(新法)을 실시함.
1078~1085 중국>송 , 중국 , 시간>연호
-
원풍유고(元豐類稿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증공(曾鞏)의 문집. 4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원학(元學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낸 원주(元柱)의 아버지로, 용양위 부호군(龍驤衛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원헌(原憲)
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의 제자로, 가난하면서도 도(道)를 즐겼음. 공자가 노(魯) 나라에서 재상이 되었을 때 원헌은 읍재(邑宰)가 되었으며, 공자가 돌아가시자 위(衛) 나라로 물러나 숨어 지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원혜왕후(元惠王后)
고려 제8대 현종(顯宗)의 제4비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은부(金殷傅)의 딸로,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. 문종(文宗)ㆍ평양공(平壤公) 왕기(王基)ㆍ효사왕후(孝思王后) 등을 낳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원호(元昊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(原州)에 은거하였으며 단종(端宗)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호(元豪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원송수(元松壽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(江原道助防將)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여주(驪州)에서 적병을 무찌르고, 패주하는 왜적을 구미포(龜尾浦)에서 섬멸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원호문(元好問)
중국 금(金) 나라 말기의 시인. 과거에 급제하여 국사편수관 등을 지냈으나,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저술에 전념함. 특히 두보(杜甫)의 시에 조예가 깊음.
1190~1257 중국>원ㅣ중국>금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원혼(元混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원유륜(元有綸)의 아들. 종종 때 사신이 되어 두 차례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선조 때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 기로소(耆老所)에 들어감.
1505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원황(元晃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, 원호(元昊)의 형. 1405년(태종 5)에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우정언(右正言)을 지냈고, 원산군(原山君)에 추봉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황(袁黃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송응창(宋應昌)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, 천문(天文)ㆍ술수(術數)ㆍ의학(醫學)ㆍ수리(水利)에 능통하였으며, 저서에 《역법신서(曆法新書)》ㆍ《요범사훈(了凡四訓)》 등이 있음.
1533~160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원효(元曉)
신라 진덕여왕(眞德女王)~신문왕(神文王) 때의 고승.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(淨土敎)의 선구자이며,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.
617~686 한국>통일신라ㅣ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ㅣ경상도>경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원효렴(元孝廉)
조선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원호(元昊)의 아들이자 원숙강(元叔康)의 아버지. 1451년(문종 1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원효사(元曉寺)
신라시대에 전라도 광산(光山)의 무등산(無等山)에 건립한 사찰. 원효(元曉)가 이곳에 머물면서 개축하여 원효사ㆍ원효암(元曉庵)ㆍ원효당(元曉堂) 등으로 불림. 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 원효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도 함.
한국>신라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찰
-
원효연(元孝然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.
?~1466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원훤(元咺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대부(大夫). 성공(成公)을 내쫓고 공자하(公子瑕)를 왕위에 등극시켰으나 성공이 복위할 때 죽임을 당함.
?~B.C.628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월계유집(月溪遺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문신인 조희문(趙希文)의 문집. 1950년 후손 조신제(趙信濟)ㆍ조응제(趙應濟) 등이 5권 2책의 석인본으로 간행함.
1950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월남사(月南寺)
고려 후기에 진각국사(眞覺國師) 혜심(惠諶)이 전라도 강진(康津)의 월출산(月出山) 남쪽에 창건한 사찰. 이규보(李奎報)가 지은 비문이 있었음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강진 , 유적>건물>사찰
-
월남장로(月南長老)
고려 후기의 승려. 묘경상인(妙瓊上人)의 백부(伯父)이자 스승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월단평(月旦評)
인물에 대한 품평(品評)을 일컫는 말. 중국 후한(後漢) 때 여남(汝南)의 허소(許劭)와 허정(許靖)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가했다는 데서 유래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