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월담헌(月潭軒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영양(英陽)에 세운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조임(趙任)의 살림집에 딸린 건물의 이름.
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해 , 유적>건물>사제
-
월당집(月塘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강석기(姜碩期)의 문집. 1772년(영조 48) 5대손인 음성 현감(陰城縣監) 강명달(姜命達)에 의해 원집(原集) 8권, 별집(別集) 2권, 합 5책의 활자본으로 간행됨.
177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음성 , 문헌>서명
-
월란대(月瀾臺)
경상도 예안(禮安)의 월란사(月瀾寺) 근처에 있는 암벽 이름. 경치가 뛰어나 초은대(招隱臺)ㆍ고반대(考槃臺)ㆍ응사대(凝思臺)ㆍ낭영대(朗詠臺)ㆍ능운대(凌雲臺)ㆍ어풍대(御風臺)와 함께 월란사의 ‘칠대(七臺)’로 일컬어짐.
경상도>예안 , 지명>자연지명
-
월란사(月瀾寺)
경상도 예안현(禮安縣) 도산면(陶山面)의 자하봉(紫霞峯) 아래에 있는 사찰. 이황(李滉)ㆍ이현보(李賢輔) 등이 이곳에서 '월란척촉회(月瀾躑躅會)'를 열어 경치를 즐기며 강학(講學)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사찰
-
월류봉(月留峯)
경상도 합천(陜川)의 가야산(伽倻山) 서쪽에 있는 매화산(梅花山)의 한 봉우리. 그 아래에 최치원(崔致遠)이 노닐었다는 청량사(淸凉寺)가 있음.
경상도>합천 , 지명>자연지명
-
월명담(月明潭)
경상도 예안(禮安)의 동쪽 25리 지점에 있는 강 이름. 낙동강(洛東江)의 상류로, 풍경이 뛰어나 시(詩)의 소재로 많이 쓰임. 현재 경상북도 안동(安東)에 속함.
경상도>예안 , 지명>자연지명
-
월명암(月明庵)
통일신라 신문왕(神文王) 때 고승 부설(浮雪)이 전라도 부안(扶安)의 변산(邊山)에 창건한 사찰.
691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부안 , 유적>건물>사찰
-
월봉서원(月峯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기대승(奇大升)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전라도 광산(光山)에 건립한 서원. 1654년(효종 5)에 사액되었으며, 기대승ㆍ박상(朴祥)ㆍ박순(朴淳)ㆍ김장생(金長生)ㆍ김집(金集) 등을 배향함.
157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봉집(月蓬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유영길(柳永吉)의 문집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월사집(月沙集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이정귀(李廷龜)의 시문집. 목판본. 74권 22책. 아들인 이명한(李明漢)과 이소한(李昭漢)이 유고(遺稿)를 정리하고, 저자의 문인인 최유해(崔有海)가 교정ㆍ간행함.
163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문헌>서명
-
월산대군(月山大君)
조선 전기의 종친. 추존왕 덕종(德宗)의 맏아들이며, 성종(成宗)의 형.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.
1454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ㅣ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월상계택(月象谿澤)
조선 후기의 문신ㆍ문장가인 월사(月沙) 이정귀(李廷龜)ㆍ상촌(象村) 신흠(申欽)ㆍ계곡(谿谷) 장유(張維)ㆍ택당(澤堂) 이식(李植)을 아울러 이르는 말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월송정(越松亭)
강원도 평해(平海) 동쪽 7리 지점에 있는 정자.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로, 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 관찰사 박원종(朴元宗)이 세웠으며, 전설에 신라 때 화랑들이 선유(仙遊)하던 곳이라 함. 현재 경상북도 울진(蔚珍)의 평해읍(平海邑)에 속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유적>건물>누정
-
월송촌(越松村)
강원도 평해(平海) 동쪽 월송정(越松亭) 근처에 있던 마을 이름. 조선 선조(宣祖) 때 이산해(李山海)가 평해로 유배되었을 때 이곳에 우거(寓居)하면서 지은 시가 《아계유고(鵝溪遺稿)》에 전함.
강원도>평해 , 지명>자연지명
-
월악산(月岳山)
충청도 충주(忠州)와 청풍(淸風) 경계에 있는 산 이름. 예로부터 뛰어난 풍광(風光)으로 유명하며, 소백산맥(小白山脈)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함.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(堤川市) 한수면(寒水面)과 덕산면(德山面)의 경계에 속함.
충청도>충주ㅣ충청도>청풍 , 지명>자연지명
-
월암사(月巖祠)
경상도 고령(高靈)에 있는 사우(祠宇). 죽재(竹齋) 곽간(郭趕)을 배향함.
경상도>고령 , 유적>건물>사당
-
월암서원(月巖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경상도 선산(善山)에 건립된 서원. 김주(金澍)ㆍ하위지(河緯地)ㆍ이맹전(李孟專) 등을 배향함.
16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연집(月淵集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 이태(李迨)의 문집. 2권 1책. 목판본. 후손 이장운(李章運)ㆍ이종술(李鍾述)이 이만재(李萬材) 등이 만들었던 유고(遺稿)에 부록 등을 첨부하고, 허전(許傳)의 서(序)와 이돈우(李敦禹)의 발(跋)을 받아 간행함.
187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월인석보(月印釋譜)
조선 세조(世祖) 때 《월인천강지곡(月印千江之曲)》과 《석보상절(釋譜詳節)》을 합해 간행한 석가 일대기(釋迦一代記). 왕명을 받아 해초(海超)ㆍ김수온(金守溫) 등이 편찬했으며, 훈민정음(訓民正音) 연구와 불교학 및 문헌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됨.
145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월장(月藏)
통일신라시대의 인물. 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 노힐부득(弩肹夫得)의 아버지.
한국>통일신라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