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월정만필(月汀漫筆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윤근수(尹根壽)가 지은 수필집. 우리 나라와 중국의 역사 고증ㆍ풍속ㆍ문장ㆍ필법ㆍ시화(詩話)ㆍ인물ㆍ설화ㆍ풍수ㆍ복서(卜筮)ㆍ중사(中使) 접대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.
159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월정봉(月井峯)
전라도 나주(羅州)의 금성산(錦城山)에 있는 산봉우리의 하나. 김천일(金千鎰) 등을 배향한 정렬사(旌烈祠)가 이곳에 있음.
전라도>나주 , 지명>자연지명
-
월정사(月精寺)
강원도 평창(平昌)의 오대산(五臺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선덕여왕(善德女王) 때 자장(慈藏)이 창건했으며, 여러 차례 화재를 겪음. 문수보살(文殊菩薩)이 머무는 성지(聖地)로 여겨짐.
643 한국>신라 , 강원도>평창 , 유적>건물>사찰
-
월정서원(月井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전라도 나주(羅州)에 건립된 서원. 1664년(현종 5)에 창건되어 1669년(현종 10)에 사액되었으며, 박순(朴淳)ㆍ김계휘(金繼輝)ㆍ심의겸(沈義謙)ㆍ정철(鄭澈)ㆍ홍천경(洪千璟)을 배향함.
166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정집(月汀集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윤근수(尹根壽)의 시문집. 11권 7책. 목판본. 손자 윤정지(尹挺之)가 편집ㆍ교정하여 윤복지(尹履之)와 나누어 간행하고, 1773년(영조 49)에 교서관(校書館)에서 활자로 별집(別集)을 간행함.
1647 한국>조선후기 , 함경도>함흥ㅣ충청도>단양 , 문헌>서명
-
월주(越州)
중국 절강성(浙江省)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춘추전국시대에 월왕(越王) 구천(句踐)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, 현재는 소흥(紹興)으로 불림. 항주만(杭州灣) 남쪽에 위치하며, 역사적인 명승지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도요(陶窯) 지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월천서당(月川書堂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한 서당. 1539년(중종 34) 월천(月川) 조목(趙穆)이 학문을 배우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며, 현판은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이 씀.
153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천집(月川集)@김길통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김길통(金吉通)의 시문집. 4권 2책. 1649년(인조 27) 후손 김정화(金鼎華)가 시집 1권을 편찬하고, 1785년(정조 9) 김도철(金道喆)이 활자본을 간행했다고 함. 현재는 1904년 이후에 다시 간행된 것이 남아 있음.
164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월천집(月川集)@조목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목(趙穆)의 문집. 목판본. 6권 3책. 예안 현감(禮安縣監) 이석관(李碩寬)의 청탁에 따라 저자의 아들 조석붕(趙錫朋)이 소장한 초고(草稿) 4권을 허목(許穆)이 산정(刪定)하여 간행함.
16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문헌>서명
-
월출봉(月出峯)
강원도 금강산(金剛山) 비로봉(毗盧峯)의 동남쪽에 위치한 산봉우리. 높이 1,574m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월출산(月出山)
전라남도 영암(靈巖)과 강진(康津)의 경계에 있는 산. 소백산맥 여맥의 말단에 솟아 있으며, 남원(南原) 지리산(智異山)ㆍ장흥(長興) 천관산(天冠山)ㆍ부안(扶安) 능가산(楞伽山)ㆍ정주(井州) 내장산(內藏山)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꼽힘. 호남의 소금강(小金剛)이라고도 불리며, 도갑사(道岬寺)ㆍ무위사(無爲寺) 등의 사찰이 있음.
전라도>영암ㅣ전라도>강진 , 지명>자연지명
-
월포사(月浦祠)
조선 숙종(肅宗) 때 평안도 곽산(郭山)에 건립된 서원. 이원(李黿)ㆍ홍경우(洪儆禹) 등이 배향됨.
1709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곽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하기우도(月下騎牛圖)
일본 실정시대(室町時代) 때의 승려인 수윤(守允)의 그림. 조선에 있을 때 이행(李行)이 소를 타고 노닐던 정경을 그림.
일본>실정시대 , 일본 , 문헌>작품명
-
위(魏)@삼국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의 국명. 조조(曹操)의 아들 조비(曹丕)가 후한(後漢)의 헌제(獻帝)에게 선양받아 낙양(洛陽)에 세운 왕조. 5대 46년간 존속.
225~265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위(魏)@춘추전국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의 제후국(諸侯國). 전국칠웅(戰國七雄)의 하나로, 지금의 산서성(山西省)을 중심으로 존속하였으며, 8왕 178년 만에 진(秦) 나라에 멸망됨.
B.C.403~B.C.225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위^곽(衛^霍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의 장군으로서, 흉노(匈奴)를 정벌하여 공적을 크게 세운 위청(衛靑)과 곽거병(霍去病)을 함께 부르는 말. 변방의 장수, 또는 귀척(貴戚)을 가리킴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위^맹(韋^孟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위응물(韋應物)과 맹호연(孟浩然)을 함께 부르는 말. 오언시(五言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위^반(渭^磻)
중국 감숙성(甘肅省)에서 섬서성(陝西省)으로 흐르는 위수(渭水)와 위수로 흘러드는 반계(磻溪)를 함께 부르는 말. 주(周) 나라의 강태공(姜太公)이 문왕(文王)을 만난 곳으로, 인재를 얻음을 가리킴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위^신(渭^莘)
중국 은(殷) 나라 때 위수(渭水)에서 낚시하다 주(周) 나라 문왕(文王)의 재상이 된 여상(呂尙)과, 신야(莘野)에서 농사짓다 탕(湯)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(伊尹)을 함께 부르는 말.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위^염(韋^廉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으로 경학(經學)에 밝았던 위현(韋賢)과, 후한(後漢) 때의 문신으로 민생(民生) 위주의 정사를 펼친 염범(廉范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후한ㅣ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