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위^유(韋^柳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위응물(韋應物)과 유종원(柳宗元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(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위^평(韋^平)
중국 전한(前漢)의 재상인 위현(韋賢)ㆍ위현성(韋玄成) 부자(父子)와, 평당(平當)ㆍ평안(平晏) 부자를 함께 부르는 말. 부자(父子) 모두 재상을 지낸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위공병법(衛公兵法)
중국 수(隋) 말~당(唐) 초의 명장인 이정(李靖)의 병법서(兵法書). 당 나라 군사의 구조와 주요 작전(作戰)의 특색을 보여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위관(衛瓘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ㆍ서예가. 여류 서예가 위삭(衛鑠)의 아버지로, 태보(太保) 등을 지내고, 장지(張芝)의 서체를 이어 받음. 혜제(惠帝) 때 혜가황후(惠賈皇后)에게 주살됨.
220~29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무신
-
위기(魏驥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대종(代宗) 때의 문신. 《영락대전(永樂大典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남경 이부상서(南京吏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저서에 《남재적고(南齋摘稿)》가 있음.
1374~147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남문집(渭南文集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이자 애국 시인인 육유(陸游)의 시문집. 총 50권. 아들 육휼(陸遹)이 간행함.
1220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위단(韋丹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안진경(顔眞卿)의 외손으로, 신라 원성왕(元聖王)의 국상(國喪) 때 조위사(弔慰使)로 나왔다가 도중에 소성왕(昭聖王)의 훙서(薨逝) 소식을 듣고 본국으로 돌아감. 한유(韓愈)가 그의 묘지(墓誌)를 지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당(魏堂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. 예학(禮學)에 밝았으며, 저서로 《가례회성(家禮會成)》이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위덕왕(威德王)
백제 제27대 국왕. 재위 554~598. 성왕(聖王)의 맏아들이며, 혜왕(惠王)의 형. 태자 때 성왕을 도와 신라 공격에 앞장서고, 즉위 후에도 신라와 고구려에 대하여 적대적인 정책을 계속함.
525~598 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위라곡(位羅谷)
경상도 예천(醴泉)의 남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약포(藥圃) 정탁(鄭琢)의 묘소가 있음.
경상도>예천 , 지명>행정지명
-
위례성(慰禮城)
백제 시조 온조왕(溫祚王) 때부터 475년(문주왕 1)까지의 도읍지. 그 위치에 대해서는 충청도 직산(稷山)ㆍ전라도 익산(益山)ㆍ경기도 광주(廣州) 등 여러 주장이 있음.
한국>백제 , 지명>행정지명
-
위만(衛滿)
위만조선(衛滿朝鮮)의 개조(開祖). 중국 진(秦) 나라 말에 연(燕) 나라의 노관(盧綰) 휘하에 있다가 연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고조선으로 망명하여 기씨조선(箕氏朝鮮)의 준왕(準王)을 쫓아내고 위만조선을 세움.
고대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위백양(魏伯陽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ㆍ도사. 진단(陳摶)에게 태극도(太極圖)를 전수하고, 《주역(周易)》에 나오는 효상(爻象)의 원리를 그대로 빌려와 신단(神丹)을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논함. 저서로 《참동계(參同契)》ㆍ《오상류(五相類)》가 있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위봉(威鳳)
조선 전기의 승려. 연산군(燕山君)~선조(宣祖) 때의 승려인 영관(靈觀)에게 참선을 가르친 스승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위북(渭北)
중국 산서성(山西省) 서안(西安) 위수(渭水)의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. 두보(杜甫)의 〈춘일억이백(春日憶李白)〉이란 시로 인해 강동(江東)과 함께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어로 많이 사용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위사공신(衛社功臣)
고려 고종(高宗) 때 무오정변(戊午政變)을 주도한 인물들에게 내린 공신 칭호. 1258년(고종 45)년 유경(柳璥)ㆍ김준(金俊) 등의 8명은 최씨 정권을 붕괴시키고 공신 칭호를 받음.
125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법제>제도
-
위삭(衛鑠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여류 서예가. 여음 태수(汝陰太守) 이구(李矩)의 아내로, 종요(鐘繇)에게 사사하고 예서(隸書)와 정서(正書)에 뛰어났으며, 왕희지(王羲之)에게 서법을 가르침.
272~34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위상(魏相)
중국 전한(前漢) 소제(昭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선제 때 곽광(霍光)이 죽은 후 그 아들과 조카 등 곽씨(霍氏)가 전횡하자 권력을 축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며, 승상(丞相)이 된 후 병길(丙吉)과 함께 국정을 보좌함.
?~B.C.59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서(魏舒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산도(山濤)의 대임으로 사도(司徒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침중한 천성으로 널리 일컬어짐.
209~29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섬지(魏掞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자(朱子)와 교유하였음. 포의(布衣)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(太學錄)에 이름. 사부(詞賦)를 폐(廢)하기를 청했으나,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