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승(克承) - 정홍서(鄭弘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장수 현감(長水縣監)을 지낸 정대민(鄭大民)의 아들로, 1628년(인조 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학정(學正) 등을 지냄. 남계서원(灆溪書院) 별사(別祠)에 배향됨.
1571~1648
-
홍서(弘緖)@정홍서 - 정홍서(鄭弘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장수 현감(長水縣監)을 지낸 정대민(鄭大民)의 아들로, 1628년(인조 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학정(學正) 등을 지냄. 남계서원(灆溪書院) 별사(別祠)에 배향됨.
1571~1648
-
여량부원군(礪良府院君) - 송공손(宋恭孫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경원 부사(慶源府使)를 지낸 송만달(宋萬達)의 아들. 훈련원 도정(訓鍊院都正)을 지냈으며, 아들 송질(宋軼)이 영의정에 올라, 여량부원군(礪良府院君)에 추증됨.
1430~1509
-
공손(恭孫) - 송공손(宋恭孫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경원 부사(慶源府使)를 지낸 송만달(宋萬達)의 아들. 훈련원 도정(訓鍊院都正)을 지냈으며, 아들 송질(宋軼)이 영의정에 올라, 여량부원군(礪良府院君)에 추증됨.
1430~1509
-
강언(剛彦) - 송지정(宋之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(肅靖公) 송질(宋軼)의 아들로 시학(詩學)에 힘썼으며, 사옹원 참봉(司饔院參奉)을 역임하였음.
1500~1529
-
지정(之楨) - 송지정(宋之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(肅靖公) 송질(宋軼)의 아들로 시학(詩學)에 힘썼으며, 사옹원 참봉(司饔院參奉)을 역임하였음.
1500~1529
-
확(確)@윤확 - 윤확(尹確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함양 군수(咸陽郡守)로 있을 때 개암(介庵) 강익(姜翼)을 도와 남계서원(灆溪書院)을 건립함.
-
정홍서(鄭弘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장수 현감(長水縣監)을 지낸 정대민(鄭大民)의 아들로, 1628년(인조 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학정(學正) 등을 지냄. 남계서원(灆溪書院) 별사(別祠)에 배향됨.
1571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국헌(菊軒)@박경윤 - 박경윤(朴慶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, 자는 효중(孝仲), 호는 국헌(菊軒).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(朴慶傳 1553~1623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아익장(亞翼將)으로 전공을 세움. 사후에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 2등에 올랐으며, 1816년(순조16) 병조 판서에 추증됨.
1555~1626
-
경윤(慶胤)@박경윤 - 박경윤(朴慶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, 자는 효중(孝仲), 호는 국헌(菊軒).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(朴慶傳 1553~1623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아익장(亞翼將)으로 전공을 세움. 사후에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 2등에 올랐으며, 1816년(순조16) 병조 판서에 추증됨.
1555~1626
-
박경윤(朴慶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, 자는 효중(孝仲), 호는 국헌(菊軒).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(朴慶傳 1553~1623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아익장(亞翼將)으로 전공을 세움. 사후에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 2등에 올랐으며, 1816년(순조16) 병조 판서에 추증됨.
1555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무신
-
성안(成安)@윤사균 - 윤사윤(尹士昀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윤번(尹璠)의 아들이며.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오빠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靖難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영평군(鈴平君)에 봉해짐.
1409~?
-
영평군(鈴平君)@윤사균 - 윤사윤(尹士昀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윤번(尹璠)의 아들이며.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오빠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靖難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영평군(鈴平君)에 봉해짐.
1409~?
-
사균(士昀) - 윤사윤(尹士昀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윤번(尹璠)의 아들이며.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오빠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靖難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영평군(鈴平君)에 봉해짐.
1409~?
-
윤사윤(尹士昀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윤번(尹璠)의 아들이며.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오빠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靖難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영평군(鈴平君)에 봉해짐.
1409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파릉군(坡陵君) - 윤보(尹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사윤(尹士昀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로,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종 때 황태자(皇太子)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(明) 나라에 진하사(進賀使)로 다녀옴.
-
파릉부원군(坡陵府院君) - 윤보(尹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사윤(尹士昀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로,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종 때 황태자(皇太子)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(明) 나라에 진하사(進賀使)로 다녀옴.
-
보(甫) - 윤보(尹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사윤(尹士昀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로,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종 때 황태자(皇太子)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(明) 나라에 진하사(進賀使)로 다녀옴.
-
윤보(尹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사윤(尹士昀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로,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종 때 황태자(皇太子)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(明) 나라에 진하사(進賀使)로 다녀옴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공소(恭昭)@도평군 - 도평군(桃平君)
조선 제2대 정종(定宗)의 열두 번째 서자. 일두(一蠹) 정여창(鄭汝昌)의 장인.
1402~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