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위성곡(渭城曲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(王維)가 지은 악곡. 왕유가 원이사(元二使)를 송별(送別)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,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(陽關三疊曲)이라고도 부름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위성공신(衛聖功臣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5년에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광해군을 호종한 관원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이기(李耆)ㆍ황신(黃愼)ㆍ김권(金權) 등 82인에게 내림.
161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위소아(衛少兒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의 황후인 위황후(衛皇后)의 언니이자 대장군(大將軍) 위청(衛靑)의 누나. 대장군 곽중유(霍仲孺)와 밀통하여 곽거병(霍去病)을 낳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위소주집(韋蘇州集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위응물(韋應物)의 시집. 소주(蘇州) 지역의 글 쓰는 풍모(風貌)를 반영함.
1171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위수(渭水)
중국 황하강(黃河江)의 지류(支流). 감숙성(甘肅省) 남동부에서 시작하여 섬서성(陝西省)으로 흘러 황하강으로 들어감. 여상(呂尙)이 위수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제후(齊侯)가 된 고사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위시량(魏時亮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목종(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(兵科給事中)으로서 한림 검토(翰林檢討) 허국(許國)과 함께 반조(頒詔)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. 저서에 《대유학수(大儒學粹)》 등이 있음.
1529~159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안도(韋安道)
중국 당(唐) 나라의 유학. 전기(傳奇) 소설 〈위안도전(韋安道傳)〉에 나오는 인물로, 후토부인(后土夫人)을 만나 아내로 삼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위안도전(韋安道傳)
중국 당(唐) 나라의 전기(傳奇) 소설. 창작자 미상으로, 주인공 위안도(韋安道)가 후토부인(后土夫人)을 만나 아내로 삼는 이야기 등을 다루고 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위야(魏野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 때의 문인ㆍ은자.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섬주(陝州) 동교(東郊)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위열왕(威烈王)
중국 주(周) 나라의 천자. 재위 B.C.425~B.C.402. 고왕(考王)의 아들로, 진(晉) 나라 대부 한건(韓虔)ㆍ조적(趙籍)ㆍ위사(魏斯)를 제후로 봉함.
?~B.C.402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염(魏冉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외척이자 공신. 어린 소왕(昭王)을 대신해 정사를 돌보며 국토를 넓힌 후, 소왕이 범수(范睢)를 등용하자 관직을 떠나 봉읍(封邑)으로 돌아가 죽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위왕(威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378~B.C.343. 환공(桓公)의 아들로, 추기(鄒忌)ㆍ전기(田忌)ㆍ손빈(孫臏) 등을 등용하여 안정을 이루고, 임치(臨淄)의 직하(稷下)에 학궁을 설치한 뒤 각국의 명사들을 초청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룩함.
?~B.C.32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위왕호(魏王瓠)
《장자(莊子)》의 〈소요유(逍遙遊)〉에 나오는 큰 박. 혜자(惠子)가 위(魏) 나라 왕으로부터 박씨를 받았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, 물건은 이용하는 사람이 그 물건을 감당할 만한 국량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위요옹(魏了翁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왕에게 열 가지 폐단을 논하여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간신들의 견제로 인해 홀로 경학을 궁구하고 옛것을 배워 일가를 이룸.
1178~123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원례(韋元禮)
중국 수(隋) 나라의 문신. 위표미(韋表微)의 7세조(世祖)로 미성공(郿城公)에 봉해짐.
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응물(韋應物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(玄宗)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, 안녹산(安祿山)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(左司郞中)ㆍ소주 자사(蘇州刺史) 등을 지냄.
737~8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지식(威知識)
고려 후기의 승려. 명리(名利)를 버리고 천태종(天台宗)에 귀의함.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이규보(李奎報)가 써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위징(魏徵)
중국 수(隋)~당(唐) 나라의 문신.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(李密)의 서기가 되었다가, 태종(太宗)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(諫議大夫)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(諫臣)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.
580~643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척(韋陟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문사(文辭)에 능해 순공(郇公)에 봉해짐. 오채전(五采牋)에 서찰(書札)을 쓸 때, 시첩(侍妾)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(署名)만 한 데서 오운체(五雲體)가 유래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청(衛靑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의 장군. 무제의 후(后)인 위자부(衛子夫)의 동생으로, 일곱 차례의 흉노(匈奴) 정벌에 전공을 세워 대장군(大將軍)에 올랐으며, 곽거병(霍去病)과 함께 대사마(大司馬)가 됨.
?~B.C.106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