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위총(韋叢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(元稹)의 아내. 태자소보(太子少保)를 지낸 위하경(韋夏卿)의 딸로 혼인한 지 7년만에 병으로 죽자, 남편인 원진이 아내를 그리며 애도시를 지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위춘산장(圍春山莊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소현(蕭顯)이 산해관(山海關) 위춘산(圍春山)에 지은 산장(山莊).
중국>명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제
-
위충현(魏忠賢)
중국 명(明) 나라 희종(熹宗)~의종(毅宗) 때의 환관. 희종의 총애를 업고 전권을 휘두르며 공포정치를 행함으로써 명 나라 멸망을 촉진함. 의종 때 탄핵을 받아 유배 도중 자살함.
1568~162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환관
-
위탄(韋誕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명필. 문재(文才)가 뛰어나고 글씨를 잘 쓴 것으로 유명함. 특히 묵(製墨)을 잘 만들어 그가 만든 묵을 중장묵(仲將墨)이라 부름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위표미(韋表微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감찰어사(監察御史)ㆍ호부시랑(戶部侍郞) 등을 지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현(韋賢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위현성(韋玄成)의 아버지로, 부자(父子)가 모두 경학(經學)에 밝아 명성을 떨침. 곽광(霍光)과 함께 선제를 옹립하고, 후에 승상(丞相) 등을 지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위현성(韋玄成)
중국 한(漢) 나라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문신. 위현(韋賢)의 아들로, 부자(父子)가 모두 승상(丞相)을 지냈으며, 경학(經學)에 밝아 명성이 높았음.
?~B.C.36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홍(魏弘)
신라 경문왕(景文王)~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의 왕족ㆍ재상. 희강왕(僖康王)의 손자이며, 경문왕(景文王)의 동생. 각간(角干)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, 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(情夫)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.
?~888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위화도(威化島)
평안도(平安道) 의주(義州)의 압록강(鴨綠江) 하류에 위치한 섬. 1388년(우왕 14)에 이성계(李成桂)가 이곳에서 회군(回軍)을 단행하여 정권을 잡음.
평안도>의주 , 지명>자연지명
-
위황후(韋皇后)
중국 당(唐) 나라 중종(中宗)의 황후. 측천무후(則天武后)의 주선으로 황후가 된 뒤 일찍부터 정치에 관여함. 무삼사(武三思)와 간통하여 중종을 죽이고 상제(殤帝)를 세운 뒤 전횡을 일삼다가, 후에 현종(玄宗)이 된 이융기(李隆基)에게 폐위되어 축출됨.
?~71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유^계(幽^薊)
중국 하북성(河北省) 일부와 요령성(遼寧省)에 해당하는 유주(幽州)와, 하북성 천진(天津) 지역에 해당하는 계주(薊州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유^구(由^求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인 중유(仲由)와 염구(冉求)를 함께 부르는 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서 권신(權臣)인 계씨(季氏)의 가신(家臣)이 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^기(幽^冀)
중국의 구주(九州)에 속하는 유주(幽州)와 기주(冀州)를 함께 부르는 말. 고대 전쟁의 요충지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유^려(幽^厲)
중국 주(周) 나라 제12대 황제인 유왕(幽王)과 제10대 황제인 여왕(厲王)을 함께 부르는 말. 포악하고 어리석은 왕을 가리킴.
중국>주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^마(類^禡)
유제(類祭)와 마제(禡祭)를 함께 부르는 말. 마제는 전쟁 때 군법(軍法)을 제정한 신에게 지내는 제사이고, 유제는 천자(天子)가 죄 있는 자를 정벌하러 나가기에 앞서 상제(上帝)에게 올리는 제사임.
법제>의례>국가의례
-
유^손(劉^孫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제1대 황제인 소열제(昭烈帝) 유비(劉備)와 오(吳) 나라 제1대 황제인 대제(大帝) 손권(孫權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^양(游^楊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인 유작(游酢)과 양시(楊時)를 함께 부르는 말. 정문(程門)의 사제자(四弟子)에 속한 인물들로,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^여(劉^呂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재상인 유지(劉摯)와 여대방(呂大防)을 함께 부르는 말. 신종(神宗) 때의 당인들을 등용하여 화해를 시도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^연(幽^燕)
중국의 유주(幽州)와 연주(燕州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유^완(劉^阮)
중국 후한(後漢) 명제(明帝) 때의 서생(書生)인 유신(劉晨)과 완조(阮肇)를 함께 부르는 말. 두 사람이 약을 캐러 천태산(天台山)에 들어갔다가 선경(仙境)에서 살다 온 고사로 인해 선경에서 노닌 사람을 가리킴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