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경(劉敬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문신ㆍ공신. 본명은 누경(婁敬). 고조(高祖)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(洛陽)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, 관중(關中)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(長安)을 수도로 정하고 유(劉)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(劉敬)이라 하였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柳坰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광주(廣州)와 여주(驪州)의 목사(牧使)를 거쳐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柳璥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김준(金俊) 등과 함께 최의(崔竩)를 죽여 최씨의 무신정권(武臣政權)을 종식시킴. 첨의중찬(僉議中贊) 등을 지내고 문장에 뛰어났으며, 안향(安珦)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함.
1211~128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경렴(柳景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의 아들이며,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사위로, 찰방(察訪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심(柳景深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1547년(명종 2)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, 1551년(명종 6) 다시 기용되어 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등을 지냈음.
1516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안(柳景顔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임진왜란 때 금산(錦山)에서 전사한 유팽로(柳彭老)의 아버지로, 어모장군(禦侮將軍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무신
-
유경중(游敬仲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경지(柳瓊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청경(淸卿) 유약(柳瀹)의 아들로, 지수(篪叟) 정규양(鄭葵陽)의 문하에서 수학함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경해(柳景海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사사(賜死)된 유진정(柳震楨)의 아버지이고, 내암(來庵) 정인홍(鄭仁弘)의 매부로, 군자감 정(軍資監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계(兪棨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기계(杞溪). 김장생(金長生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, 송시열(宋時烈)ㆍ송준길(宋浚吉)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(五賢)으로 일컬어짐.
1607~166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계린(柳桂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의 아버지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으로, 관직에 마음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자제들을 가르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ㅣ전라도>순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계문(柳季聞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원종공신(原從功臣) 유관(柳寬)의 아들이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을 지낸 유권(柳睠)의 아버지. 서예에 능해서 왕명으로 태종의 명복을 빌기 위한 《금자법화경(金字法華經)》을 씀.
1383~14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계분(柳桂芬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유승순(柳承順)의 아들이며, 유성원(柳誠源)의 조카.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, 서거정(徐居正)과 교유함.
1397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계서원(柳溪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성주(星州)에 건립된 서원. 정곤수(鄭崐壽) 등을 배향함.
17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유계조(柳繼祖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공민왕(恭愍王) 때 홍건적의 난 등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에 책훈되었으며, 조선 개국 후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333~1374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유고지(庾杲之)
중국 남북조시대 제(齊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재상 왕검(王儉)의 막료를 지낸 일이 있으며, 가세가 청빈(淸貧)하여 조석 때마다 반찬이 오직 부추로 만든 음식뿐이었다고 함.
441~49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곤(劉琨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문신ㆍ시인. 혜제(惠帝) 때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맹세한 사직지신(社稷之臣). 좌사(左思)ㆍ곽박(郭璞)과 함께 동진(東晉)의 3대 시걸(詩傑)로 꼽힘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공(劉珙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정강지변(靖康之變) 때 자결한 유갑(劉韐)의 손자.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한 중에 장상(將相)의 직임이 제수된 일이 있었으나 끝내 사양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공권(柳公權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서예가. 태자소사(太子少師)를 지내고, 해서(楷書)에 뛰어남. 주로 안진경(顔眞卿)을 본받았으나, 안진경의 글씨에 살이 많다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서 흔히 안유(顔柳)라 병칭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음.
778~86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공권(柳公權)@고려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내고, 예서(隸書)와 초서(草書)를 잘 씀.
1132~1196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