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공석(柳公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학자 유중엄(柳仲淹)의 아버지로, 전랑(殿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공작(柳公綽)@당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헌종(憲宗)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〈태의잠(太醫箴)〉을 지어 풍간(諷諫)함. 오원제(吳元濟)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,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지냄.
765~83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공작(柳公綽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으로,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조부. 간성 군수(杆城郡守)와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를 역임함.
1481~15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공좌(柳公佐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조지서 사지(造紙署司紙)ㆍ사산감역관(四山監役官)ㆍ용양위 사과(龍驤衛司果)를 지냄 .
1458~151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공준(柳公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의 조부(祖父)이고, 유계린(柳桂隣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관(兪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. 본관은 기계(杞溪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 유여림(兪汝霖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함.
1499~153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관(劉寬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태위(太尉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품이 온순하고 인자하여 남양 태수(南陽太守)로 있을 때 아전이나 백성들이 과실을 범하면 아프지 않은 부들 채찍으로 벌을 주었다고 함.
120~18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관(劉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거창(居昌)으로, 충순위(忠順衛) 유귀손(劉貴孫)의 아들.
1484~15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관(柳寬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이 책록되고, 우의정(右議政)을 지냄. 《태종실록(太宗實錄)》을 편찬하고 《고려사(高麗史)》를 수교(讎校)함.
1346~143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관(柳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좌의정(左議政)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(乙巳士禍)가 일어나 삼흉(三凶)으로 몰려 사사됨.
1484~15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관(柳貫)
중국 원(元) 나라 성종(成宗)~순제(順帝) 때의 문신ㆍ학자. 한림시제(翰林時制) 등을 지냈으며, 게혜사(揭傒斯)ㆍ우집(虞集)ㆍ황진(黃溍) 등과 함께 유림사걸(儒林四傑)이라 불림. 저서로 《시제집(時制集)》등이 있음.
?~1341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관동록(遊關東錄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(金時習)의 관동지방(關東地方) 유람기. 《사유록(四遊錄)》의 하나로, 1460년(세조 6) 관동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(後志)로 구성되어 있으며, 《매월당집(梅月堂集)》 권10에 실려 있음.
1460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편명
-
유관서록(遊關西錄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(金時習)의 관서지방(關西地方) 유람기. 《사유록(四遊錄)》의 하나로, 1458년(세조 4) 관서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(後志)로 구성되어 있으며, 《매월당집(梅月堂集)》 권9에 실려 있음.
1458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편명
-
유관현(柳觀鉉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학자 유도원(柳道源)의 생부로, 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냄. 외직(外職)에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《목민심서(牧民心書)》에 치적이 기록되었으며, 저서로 《양파집(陽坡集)》이 있음.
1692~176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광선(柳光先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의 손자이며 유경렴(柳景濂)의 아들로, 김장(金鏘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광수(柳光洙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청백리(淸白吏) 유심춘(柳尋春)의 생부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광정(柳光霆)
조선 후기의 유학. 옥봉(玉峯) 백광훈(白光勳)의 사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교칠신(遺敎七臣)
조선 선조(宣祖)의 유언으로 영창대군(永昌大君)의 보호를 부탁받은 7명의 신하. 유영경(柳永慶)ㆍ한응인(韓應寅)ㆍ박동량(朴東亮)ㆍ서성(徐渻)ㆍ신흠(申欽)ㆍ허성(許筬)ㆍ한준겸(韓浚謙)을 가리킴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유구(劉球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한림시강(翰林侍講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녹천(麓川)의 역(役)에 군사를 발동한 잘못을 간하였다가 권신 왕진(王振)의 비위를 거슬러 죽임을 당함.
1392~144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구(柳䪷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무신ㆍ공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좌찬성(左贊成) 유근(柳根)의 손자이며 구굉(具宏)의 사위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
1597~16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