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구(柳玽)@1335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양(晉陽). 조선 건국 후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진천군(晉川君)에 봉해졌으며, 예문춘추관 태학사(藝文春秋館太學士)를 지냄.
1335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구(柳玽)@고려후기
고려 말의 충신.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(杜門洞)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(遺臣) 가운데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구(琉球)
대만과 일본 사이에 있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. 1879년 일본이 점령하여 충승(沖繩 : 오키나와)으로 이름을 고침.
기타지역 , 시간>국명
-
유구언(游九言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초명은 구사(九思). 장식(張栻)의 문인으로, 저서에 《묵재유고(默齋遺稿)》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구풍속기(琉球風俗記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윤결(尹潔)의 저서. 박손(朴孫)이 유구(琉球)에 표류하였던 경험담을 토대로 저술함.
1546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군옥(兪君玉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유길(鄭惟吉)의 《임당유고(林塘遺稿)》에, 그의 시에 차운(次韻)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권(柳睠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직제학(直提學)ㆍ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귀손(劉貴孫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지낸 유관(劉瓘)의 아버지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무신
-
유규(柳規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익대공신(翊戴功臣) 유자광(柳子光)의 아버지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01~147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극량(劉克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연안 유씨(延安劉氏)의 시조.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(洪暹)의 배려로 면천(免賤)하고 무과(武科)에 급제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방어사(防禦使) 신할(申硈)의 부장(副將)이 되어 임진강(臨津江)을 방어하다가 전사함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무신
-
유극신(柳克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항(李恒)의 문인인 유몽학(柳夢鶴)의 아들.
155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극장(劉克莊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내고, 육유(陸游)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, 강호시파(江湖詩派)를 주도함.
1187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근(柳根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(義州)로 호종하고,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됨.
1549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근회(柳根晦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방선(柳方善)의 후손이고 조호익(曺好益)의 문인으로, 효행으로써 알려짐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금강록(遊金剛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인 서경덕(徐敬德)이 금강산(金剛山)을 유람한 후 쓴 기행문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기(劉基)
중국 원(元)~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주원장(朱元璋)의 모사(謀士)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, 명 건국 후에는 역법(曆法)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함. 원 나라 말기의 사회 모순을 풍자하는 글을 많이 남김.
1311~1375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기(柳沂)@유후의아들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이방원(李芳遠)이 방간(芳幹)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(翊戴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민무구(閔無垢)ㆍ민무질(閔無疾)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.
?~141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기(柳沂)@유용의손자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전라우도 수사(全羅右道水使)를 지낸 유용(柳墉)의 손자로, 현령(縣令)ㆍ감찰(監察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기(柳裿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유운룡(柳雲龍)의 둘째 아들로, 권호문(權好文)에게 《논어(論語)》를 배웠으며, 낭천 현감(狼川縣監)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기창(兪起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냈으나, 좌의정 성준(成俊)이 연산군의 난정을 극간(極諫)하다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석방되어 비인현(庇仁縣)에 은거함.
1437~151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천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