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길(游吉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정(鄭) 나라의 대부. 자산(子産)을 집정시켜 인정(仁政)을 베풀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유달지(柳達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흡(柳洽)의 아들이며, 유천지(柳千枝)ㆍ유만지(柳萬枝)의 형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담(劉惔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명제(明帝)의 부마(駙馬). 사안(謝安)의 장인이자, 왕희지(王羲之)의 절친한 벗으로, 단양 윤(丹楊尹) 등을 지냈으며, 당대의 인걸로 칭송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유대수(兪大脩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진사(進士) 유함(兪涵)의 아들. 이황(李滉)ㆍ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(門人)으로, 내섬시 정(內贍寺正)ㆍ안동 부사(安東府使) 등을 지냄.
1546~158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대일(兪大逸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좌의정(左議政) 유홍(兪泓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지냄. 그의 시문집인 《용은집(慵隱集)》이 《송당집(松塘集)》에 실려 있음.
1572~16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대정(兪大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유호(兪灝)의 아들. 기축옥사(己丑獄死)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시절 이이첨(李爾瞻) 등 대북파(大北派)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.
1552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대진(兪大進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좌의정 유홍(兪泓)의 아들. 이이(李珥)의 천거로 홍문관(弘文館)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54~159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덕(劉德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ㆍ제후. 경제(景帝)의 아들로,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.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(古文字體)로 쓰인 《주관(周官)》ㆍ《상서(尙書)》ㆍ《예(禮)》ㆍ《예기(禮記)》ㆍ《노자(老子)》 등은 고문자학(古文字學)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.
?~B.C.13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덕개(劉德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유학 유우삼(劉友參)의 아들로, 교서관 정자(校書館正字)를 지냄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덕룡(柳德龍)
조선 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.
1563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덕수(柳德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문옥(柳文沃)의 아들로, 1560년(명종 15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덕승(劉德升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~영제(靈帝) 때의 서예가. 종요(鍾繇)와 호소(胡昭)의 스승으로, 행서체(行書体)의 대가로 일컬어짐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유덕종(柳德種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무랑(宣務郞) 유영석(柳永錫)의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정랑(正郞) 등을 지냄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도(柳濤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유진동(柳辰仝)의 아들로, 1560년(명종 15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승정원 동부승지(承政院同副承旨) 등을 지냄.
1520~15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도원(柳道源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상정(李象靖)의 문인으로, 존심(存心)ㆍ함양(涵養)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(爲己之學)에 전념함. 주석학(註釋學)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.
1721~179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유돈(柳墩)@고려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와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역임함.
?~130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돈(柳墩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ㆍ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두류록(遊頭流錄)@김종직
조선 성종(成宗) 때 김종직(金宗直)이 지리산(智異山)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(紀行文). 지리산에 관한 기행문 중에 가장 오래되고 상세한 글임.
1472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유두류록(遊頭流錄)@유자옥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유자옥(兪子玉)의 저서. 임훈(林薰)이 《유두류록(遊頭流錄)》에 대해 쓴 글이 《갈천집(葛川集)》에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득공(柳得恭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규장각 검서(奎章閣檢書) 등을 지냄.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, 대표적인 저서로 《발해고(渤海考)》 등이 있음.
1749~1807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