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량(庾亮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명제(明帝)의 비(妃)인 명목유황후(明穆庾皇后)의 오빠로, 조카인 성제(成帝) 때 권력을 휘둘러 비난을 받음.
289~34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량(柳亮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, 방간(芳幹)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.
1355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려(劉礪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유지(劉砥)의 동생으로, 형과 함께 주희(朱熹)를 스승으로 섬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령(劉伶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인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한 사람으로,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, 〈주덕송(酒德頌)〉을 지어 술을 예찬함.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(愛酒家)의 전형으로 일컬어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리(羑里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탕음현(湯陰縣)에 있던 지명. 은(殷) 나라 주왕(紂王)이 주(周) 나라 문왕(文王)을 유폐한 곳. 문왕이 유리옥(羑里獄)에 갇혀 있으면서 역(易)의 팔괘(八卦)를 육십사괘(六十四卦)로 추연(推演)하였다고 함.
중국>은 , 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유리왕(瑠璃王)
삼국시대 고구려(高句麗) 제2대 왕. 재위 B.C.19~A.D.18. 동명왕(東明王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예씨(禮氏). 부여(扶餘)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. 도읍을 졸본(卒本)에서 국내성(國內城)으로 옮겼으며, 선비(鮮卑)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.
?~18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리이사금(儒理尼師今)
신라(新羅)의 제3대 국왕. 재위 24~57. 남해차차웅(南解次次雄)의 아들이며, 어머니는 운제부인(雲帝夫人). 6부(六部)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(李)ㆍ최(崔)ㆍ손(孫)ㆍ정(鄭)ㆍ배(裵)ㆍ설(薛)의 성(姓)을 주었으며, 17관등(官等)을 마련하였다고 함.
?~57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림(柳林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유성간(柳成澗)의 아들. 밀직사(密直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림사걸(儒林四傑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장가인 게혜사(揭傒斯)ㆍ우집(虞集)ㆍ유관(柳貫)ㆍ황진(黃溍)의 네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유마힐(維摩詰)
석가(釋迦)의 속제자(俗弟子). 인도 비사리국(毗舍離國)의 장자(長者)로,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(菩薩)의 행업을 닦았으며,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.
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유만지(柳萬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태재(泰齋) 유방선(柳方善)의 후손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매(劉買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고조. 장사정왕(長沙定王) 유발(劉發)의 아들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맹용(劉孟容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장사(長沙)와 남강(南康)의 수령을 지냄. 주희(朱熹)가 “근결자호(謹潔自好)하며, 학문에 방도가 있다”고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면지(劉勉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헌(胡憲)ㆍ유자휘(劉子翬)와 깊이 교유함. 주희(朱熹)의 아버지 주송(朱松)의 친우로, 주희가 사부(師父)로 섬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명록(幽明錄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의경(劉義慶)이 지은 지괴집(志怪集). 30권. 한(漢) 나라에서 송(宋) 나라 때까지의 인물, 야담, 전설, 불교와 도교의 종교 설화 등을 담음. 현재는 소실되어 일부만 전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명악(兪命岳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유척기(兪拓基)의 아버지로, 1705년(숙종 3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청주 목사(淸州牧使) 등을 지냄.
1667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몽득문집(劉夢得文集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(劉禹錫)의 문집. 30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몽사(柳夢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제용감 주부(濟用監主簿)를 지낸 유탱(柳樘)의 아들로, 선공감 감역(繕工監監役)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 때 선천(宣川)으로 양곡을 운송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38~161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몽서(柳夢瑞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효자로 이름이 높은 유근회(柳根晦)의 아버지로, 임진왜란 때 영천(永川)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녹훈됨.
1534~160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유학
-
유몽열(柳夢說)
조선 전기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을 역임하였으며, 이이(李珥)의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, 그가 세운 보인당(輔仁堂)에 대한 기문(記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이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