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방택(柳方澤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판서운관사(判書雲觀事)를 지내고, 송곡서원(松谷書院)에 제향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백손(柳伯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난공신(靖難功臣)으로 녹훈된 유수(柳洙)의 아들로, 상주 목사(尙州牧使)ㆍ장흥도호부사(長興都護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백순(柳伯淳)
고려 말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정숙공(靖肅公) 유방택(柳方澤)의 차남. 경사(經史)에 통달하여 오랫동안 대사성(大司成)을 역임하며 많은 인재를 양성했음.
?~142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백유(柳伯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판전의시사(判典儀寺事)로서 전제개혁(田制改革)을 비난하였기 때문에 광주(光州)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왕조 개창 후 좌사간대부(左司諫大夫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백증(兪伯曾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공신. 유대일(兪大逸)의 아들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할아버지 유홍(兪泓)의 시문집인 《송당집(松塘集)》을 편집ㆍ간행함.
1587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백창화집(劉白唱和集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(白居易)의 문집. 5권. 유우석(劉禹錫)과 주고 받은 글을 모아 편집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번(柳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유종인(柳宗仁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범휴(柳範休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노애(蘆厓) 유도원(柳道源)의 아들. 이상정(李象靖)의 문인으로, 안변 부사(安邊府使)를 역임했음.
1744~182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벽(劉辟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역적. 어사 중승(御史中丞)ㆍ탁지 부사(支度副使) 등을 지냈으나, 서천 절도사(西川節度使)를 지낼 때 난을 일으켜 동천 절도사(東川節度使) 고숭문(高崇文)에게 토벌당함.
?~8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유보(劉輔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둘째 아들. 시호는 헌(獻). 《경씨역(京氏易)》ㆍ《효경(孝經)》ㆍ《논어(論語)》 및 《도참(圖讖)》을 해설하고, 《오경론(五經論)》을 지었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보(劉黼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보(柳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호조(戶曹)와 공조(工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우의정(右議政)을 역임함.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(李深源)의 사위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보발(柳甫發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화군(文化君) 유인기(柳仁奇)의 아들로, 문음(門蔭)으로 흥왕도감 판관(興王都監判官)에 제수되고, 통례문 부사(通禮門副使)ㆍ밀직사 우부대언(密直司右副代言) 등을 지냄. 《가정집(稼亭集)》에 묘지명이 전함.
1304~1340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복기(兪復基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기계(杞溪)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역임한 유언술(兪彦述)의 아버지로, 1696년(숙종 2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662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복룡(柳伏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역임한 유희림(柳希霖)의 아버지로, 1504년(연산군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(長水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부(兪跗)
중국 고대 황제(黃帝) 때의 의관(醫官). 탕약(湯藥)이나 침구(鍼灸)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로 병을 치료하였다고 하며, 편작(扁鵲)과 함께 명의(名醫)로 일컬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유비(劉濞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조카. 유중(劉仲)의 아들로, 제후들의 봉지(封地) 삭감을 주장한 조조(鼂錯)의 처단을 명분으로 경제(景帝) 때 오초칠국(吳楚七國)의 난을 일으켰으나, 패하여 동월(東越)로 달아났다가 피살됨.
B.C.215~B.C.15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유비(劉肥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맏아들. 제왕(齊王)에 봉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빈(柳濱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뒤에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경기 관찰사(京畿觀察使)를 역임했음.
?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빈(柳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지승(柳智承)의 아들이며,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재종숙으로, 평생 학문에만 정진하여 역학(易學) 등에 일가를 이루었으며, 저서로《권옹집(倦翁集)》이 있음.
1520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