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사(柳泗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희송(柳希松)의 아들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ㆍ종성 부사(鍾城府使) 등을 지냄.
1502~157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사공(柳思恭)
조선 전기의 문신. 영의정(領議政) 유순(柳洵)의 아버지. 세자익위사 좌세마(世子翊衛司左洗馬)를 지내고, 추충적덕보조공신(推忠積德補祚功臣)ㆍ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사규(柳思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된 유순익(柳舜翼)의 아버지로, 1562년(명종 17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(兵曹參知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34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사렴(兪思廉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《목은고(牧隱藁)》에 〈수원부차유선생운(水原府次兪先生韻)〉의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사복(劉師服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진사(進士). 한유(韓愈)의 시 〈석정연구(石鼎聯句)〉에 보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사필(柳師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유홍(柳泓)의 아들로, 온양 군수(溫陽郡守)를 지냄.
1501~155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산선생집(遺山先生集)
중국 금(金) 나라 말기의 시인인 원호문(元好問)의 문집. 40권. 원(元) 나라의 장덕휘(張德輝)가 수합ㆍ정리하여 엄충걸(嚴忠傑)이 간행함.
1262 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삼(劉參)
중국 전한(前漢) 성양왕(城陽王) 유장(劉章)의 아들. 태원왕(太原王)에 봉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유상곡수(流觴曲水)
3월 3일에 굽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을 지나기 전에 시를 지어 읊고 잔을 들어 마시던 놀이. 중국 동진(東晉) 시대부터 유행한 시회(詩會)로, 통일신라시대의 포석정(鮑石亭)이 대표적임.
사건>풍속
-
유상조(柳相祚)
조선 순조(純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도사(都事)를 지낸 유종춘(柳宗春)의 아들로, 1794년(정조 18)에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(吏曹參判)ㆍ사헌부 대사헌(司憲府大司憲)을 지냄.
1763~18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색(柳穡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유영립(柳永立)의 아들. 근친인 소북(小北)의 영수 유영경(柳永慶)이 전랑(銓郞)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,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(韓繼男)을 탄핵함.
1561~16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서(劉恕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찬수(撰修)에 참여하여 삼국(三國)에서 남북조(南北朝)까지를 기술하고, 《자치통감외기(資治通鑑外紀)》를 저술함.
1032~107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석필(柳錫弼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를 지낸 유순선(柳順善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선각(留仙閣)
조선시대 평안도 성천(成川)에 있던 누각 이름. 관서팔경(關西八景)의 하나인 강선루(降仙樓) 부근에 있었음.
한국>조선시대 , 평안도>성천 , 유적>건물>누정
-
유섭(柳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청주 목사(淸州牧使)로 왜적을 맞아 싸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성(柳惺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영길(柳永吉)의 아들로, 1599년(선조 32) 정시(庭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헌납(獻納)ㆍ지평(持平) 등을 지냄. 유영경(柳永慶)이 이끄는 소북(小北)으로, 광해군이 즉위한 후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죽음.
1572~161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성(柳珹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순(宋純)의 《면앙집(俛仰集)》에 유현강(柳玄江)이 지은 〈차면앙정운(次俛仰亭韻)〉의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성간(柳成澗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한림학사(翰林學士) 유순(柳淳)의 아들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 서산유씨(瑞山柳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성계(柳成桂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유숙(柳淑)의 아버지. 태상경(太常卿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성남(柳成男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황(丁熿)의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