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성룡(柳成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. 권율(權慄)ㆍ이순신(李舜臣)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. 도학(道學)ㆍ문장(文章)ㆍ덕행(德行)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.
1542~160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ㅣ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성원(柳誠源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집현전 교리(集賢殿校理)ㆍ춘추관 기주관(春秋館記注官) 등을 지냄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으로, 성삼문(成三問)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성춘(柳成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연좌되어 파직됨. 윤구(尹衢)ㆍ최산두(崔山斗) 등과 시주(詩酒)로 교우하며 호남삼걸(湖南三傑)로 불림.
1495~152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(劉蛻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문신. 형주(荊州)에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급제하여 파천황(破天荒)이라고 불림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건(兪世建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원(昌原)으로, 청풍 군수(淸風郡守)를 지낸 유형(兪炯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세귀(柳世龜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을 지내고, 1527년(중종 22) 상진(尙震)ㆍ송순(宋純) 등 24인과 계축갑계(癸丑甲契)를 만듦.
149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린(柳世麟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대사간(大司諫) 유헌(柳軒)의 아들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신구(伸救)하는 상소를 올림.
1490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명(柳世鳴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원지(柳元之)의 문인으로, 교리(校理) 시절에 송시열(宋時烈)ㆍ김수항(金壽恒)ㆍ김석주(金錫胄)ㆍ민정중(閔鼎重)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(箚子)를 올렸으며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역임함.
1636~169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무(柳世茂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예천 군수(醴泉郡守)를 역임하였으며, 권문해(權文海)ㆍ조목(趙穆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보(兪世輔)
조선 전기의 유학. 조욱(趙昱)의 《용문집(龍門集)》에 〈차가우연형운(次可佑年兄韻)〉의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세장(柳世章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희(柳禧)의 아들이며 유세창(柳世彰)의 형으로, 1676년(숙종 2) 무과(武科)에 급제함. 인현왕후(仁顯王后)가 서인(庶人)으로 지낼 때 쌀을 보낸 사실이 죽은 뒤에 알려짐.
1651~1704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세창(柳世彰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유희(柳禧)의 아들. 이정(李楨)의 서재(書齋)인 대관대(大觀臺)를 중수하고 지은 상량문(上樑文)이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실려 있음.
1657~1715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세화(柳世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팽성(柳彭成)의 아들로, 김제 군수(金堤郡守)ㆍ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냄. 시부(詩賦)를 잘 지었음.
1504~155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세훈(柳世勛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, 신천서원(新川書院)ㆍ이양서원(伊陽書院)에 배향됨.
1564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소(劉劭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태자. 문제(文帝)의 맏아들로, 많은 과실을 저지르고서 무고(巫蠱)로 몰아 모면하려다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제위(帝位)에 올랐으나, 동생 효무제(孝武帝)에게 죽임을 당함.
424?~45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소백산록(遊小白山錄)
조선 명종(明宗) 때 풍기 군수(豐基郡守)로 재임 중이던 이황(李滉)이 소백산(小白山)을 유람하면서 쓴 기행문(紀行文).
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문헌>작품명
-
유속(柳洬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유몽익(柳夢翼)의 아들로, 1618년(광해군 10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(海南縣監)을 지냄.
1568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수(柳洙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 문성군(文城君)에 봉해지고, 성종(成宗)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15~148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유수(洧水)
중국 하남성(河南省)에 있는 강 이름. 춘추전국시대 정(鄭) 나라에 있던 강으로, 등봉(登封) 마령산(馬岭山)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름. 진수(溱水)와 함께 ‘진유(溱洧)’라는 이름으로 《시경(詩經)》 정풍(鄭風)의 편명으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유수(濰水)
중국 낭사기현(琅邪箕縣)에서 출발하여 북쪽으로 도창현(都昌縣)에 이르러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 이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