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봉여해(奉汝諧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음(河陰). 뛰어난 학문과 덕으로 사옹원 별좌(司饔院別座) 등을 지냈으나, 1456년(세조 2)에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모의한 죄로 처형됨.
1419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정사(鳳停寺)
통일신라시대에 경상도 안동(安東)에 창건한 사찰. 672년(문무왕 12) 의상(義湘) 대사가 창건하여 지금에 이르렀으며, 극락전(極樂殿) 등의 국보와 보물이 전함.
672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사찰
-
봉천상(奉天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음(河陰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 희릉 참봉(禧陵參奉)에 임명되었으나, 기묘사화에 조광조의 일당으로 연좌되어 삭탈관직되고 안당(安瑭)과 함께 변란을 모의했다는 죄로 처형됨.
?~152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천우(奉天祐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하음(河陰)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머무를 때 호종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, 밀직사사(密直司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봉촌집(鳳村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동열(朴東說)과 박동량(朴東亮) 형제의 문집. 5권1책. 목판본. 1677년(숙종 3) 후손인 박세채(朴世采)에 의해 편집ㆍ간행됨.
167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봉화(奉化)
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경관이 빼어난 고산준령으로 이루어졌으며, 안동문화권에 속하는 문향(文鄕).
경상도>봉화 , 지명>행정지명
-
봉화금씨(奉化琴氏)
고려 초의 삼한공신(三韓功臣)인 태사(太師) 금용식(琴容式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기자(箕子)와 함께 우리나라에 온 금응(琴應)을 원조(遠祖)로 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집단>성씨
-
봉황성(鳳凰城)
중국 동북부 요령(遼寧)과 길림(吉林)에 위치한 봉황산(鳳凰山) 서쪽의 성곽. 심양(審陽)을 감싸고 있으며, 박지원(朴趾源)은 《열하일기(熱河日記)》에서 이곳을 안시성(安市城)으로 추정함.
중국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봉흔(奉訢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평안도 병마우후(平安道兵馬虞候)ㆍ충청 수사(忠淸水使)ㆍ전라 수사(全羅水使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부^래(釜^萊)
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부산(釜山)과 동래(東萊)를 함께 부르는 말.
경상도>동래 , 지명>기타지명
-
부^신(傅^莘)
중국 은(殷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재상인 부열(傅說)과, 탕(湯) 임금 때의 재상인 이윤(伊尹)을 함께 부르는 말. 두 사람이 각각 은거하던 부암(傅巖)과 유신(有莘)에서 유래했으며, 뛰어난 현신(賢臣)을 가리킴.
중국>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부개자(傅介子)
중국 한(漢) 나라 소제(昭帝) 때의 무신. 준마감(駿馬監)이 되어 대완국(大宛國)에 사신(使臣)으로 다녀왔었고, 한 나라 사신을 공격해 오던 누란국(樓蘭國)의 왕을 죽이고 돌아와서 의양후(義陽侯)에 봉해짐.
?~B.C.6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부계기문(涪溪記聞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김시양(金時讓)의 수필록. 1권 1책. 부계(涪溪)는 종성(鍾城)의 다른 명칭으로, 저자가 함경도 종성에 귀양갔을 때 견문을 기록함.
한국>조선후기 , 함경도>종성 , 문헌>서명
-
부계홍씨(缶溪洪氏)
고려시대 직장동정(直長同正)을 지낸 홍좌(洪佐)를 시조로 하는 성씨. 시중(侍中)을 지낸 홍난(洪鸞)의 후손이라 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의흥 , 인명>집단>성씨
-
부담암(釜潭巖)
경기도 양평(楊平)의 용문산(龍門山)에 있는 바위 이름. 바위 모양이 팔각으로 생겼다 하여 팔각암(八角巖)이라 하기도 함.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이목(李穆)의 시에 이 바위에 대한 기록이 전함.
경기도>양근 , 지명>자연지명
-
부득^박박(夫得^朴朴)
통일신라 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인 노힐부득(弩肹夫得)과 달달박박(怛怛朴朴)을 함께 부르는 말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창원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부령(富寧)
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함경산맥과 그 지맥들로 둘러싸여 있음. 내류과 해안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는 무산령(茂山嶺)ㆍ차유령(車踰嶺) 등의 고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부령 , 지명>행정지명
-
부모은중경(父母恩重經)
부모의 은혜에 대한 고마움을 담고 있는 불교 경전. 낳아준 은혜ㆍ길러준 은혜 등 부모의 은혜를 크게 10가지로 나누어 설명함. 현존 최고 판본은 1381년(고려 우왕 7) 간행된 고려본으로, 이에 관하여 권근(權近)과 정조(正祖)의 글이 있음.
문헌>서명
-
부목(夫牧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. 복구(復邱)의 문도이자 보우(普愚)의 문도이며, 선현(禪顯)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부묵(副墨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도곤(汪道昆)의 문집. 《천경당서목(千頃堂書目)》에는 24권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산실(散失)되어 5권만 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