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부문서설(敷文書說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백웅(鄭伯熊)의 저서. 1권. 《상서(尙書)》강의한 것을 엮은 것. 모두 29조목(條目)으로 조목마다 표제(標題)를 붙힘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부백성(傅伯誠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부백수(傅伯壽)의 아우로, 어릴 때부터 주자(朱子)에게서 배움. 이종(理宗)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(顯謨閣學士)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143~122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백수(傅伯壽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주자(朱子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자가 자기를 천거해 주지 않자 불만을 품고 비난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벽루(浮碧樓)
고구려(高句麗) 때 평안도 평양(平壤) 대동강(大同江) 가에 세워진 누각. 원래 영명루(永明樓)였는데 고려 예종(睿宗) 때 이안(李顔)에 의해 부벽루(浮碧樓)로 개명(改名)됨.
393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유적>건물>누정
-
부사집(浮査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인 성여신(成汝信)의 문집. 목판본. 현손(玄孫)인 성처회(成處會)가 유문(遺文)을 수습하였고, 1785년(정조 9)에 성동익(成東益)과 성사렴(成師濂)이 간행함.
178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문헌>서명
-
부산(釜山)
경상남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가마솥 모양의 산인 부산(釜山)에서 지명이 유래됨. 지금은 부산광역시에 속하며, 우리나라 최대의 무역항.
경상도>동래 , 지명>행정지명
-
부상(扶桑)
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.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(神木)으로, 전(轉)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. 일본(日本)을 가리키기도 함.
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부상록(扶桑錄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남용익(南龍翼)의 저서. 1655년(효종 6) 6월부터 9개월간 종사관(從事官)으로서 일본에 다녀온 것을 기록한 것으로, 문집 《호곡집(壺谷集)》에 실려 있음.
1655~1656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부소(扶蘇)
중국 진(秦) 나라 시황제(始皇帝)의 맏아들. 시황제가 죽자 황위에 오르지 못하고 동생인 이세(二世)와 신하 이사(李斯)ㆍ조고(趙高) 등에게 살해당함.
?~B.C.210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부소산(扶蘇山)
충청도 부여(扶餘)에 있는 산. 높이 106m. 부여는 백제의 도읍지로, 이 산에는 백제의 멸망과 관련한 부소산성(扶蘇山城)ㆍ낙화암(落花巖) 등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음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부안(扶安)
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416년(태종 16)에 부령(扶寧)과 보안(保安)이 합해짐.
전라도>부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부안김씨(扶安金氏)
전라도 부안(扶安)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. 통일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(敬順王)의 첫째 아들인 마의태자(麻衣太子) 김일(金鎰)을 시조로 하고, 김일의 5세손인 김경수(金景修)를 일세조로 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부안 , 인명>집단>성씨
-
부암(傅巖)
중국 옛 고장의 이름. 산서성(山西省) 평륙(平陸). 이곳에서 은거(隱居)하면서 담을 쌓는 역사(役事)를 하던 부열(傅說)이 은(殷) 나라 고종(高宗)의 부름을 받아 정승이 됨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부여(扶餘)
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소부리(所夫里) 혹은 사자(泗泚)ㆍ사비(泗沘)라고도 불림.
충청도>부여 , 지명>행정지명
-
부열(傅說)
중국 은(殷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명재상. 부암(傅巖)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(中興)의 대업을 이룸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요유(傅堯兪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英宗)의 생부인 복안의왕(濮安懿王)을 추숭하는 일을 반대하다가 파직됨.
1024~109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용당일고(芙蓉堂逸稿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안의(成安義)의 문집. 4권 2책. 1824년(순조 24)에 후손 성언왕(成彦枉)ㆍ성수로(成守魯)ㆍ성정로(成正魯) 등이 간행함.
182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부우덕(傅友德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원(元) 나라 말에 주원장(朱元璋)에게 투항한 후 많은 전공(戰功)을 세워 영국공(潁國公)에 봉해짐.
?~1394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부융(苻融)
중국 남북조시대 전진(前秦)의 대신. 부견(苻堅)의 막내아우로, 비수(淝水)에서 진(晉) 나라 군사와 싸우다가 죽음.
?~38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부자(傅子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부현(傅玄)의 저서. 내(內)ㆍ외(外)ㆍ중편(中編)으로 구성되어 총 120권. 당시 유행하던 청담사상(淸談思想)이 아닌 유학(儒學)을 기본으로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