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분강서원(汾江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예안(禮安)에 건립한 서원. 1613년(광해군 5년)에 농암(聾巖) 이현보(李賢輔)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향현사(鄕賢祠)를 1700년(숙종 26)에 서원으로 개편함.
17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분무공신(奮武功臣)
조선 영조(英祖) 4년에 이인좌(李麟佐)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준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오명항(吳命恒)ㆍ조현명(趙顯命) 등 모두 15명에게 내림.
1728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분문온역이해방(分門瘟疫易解方)
조선 중종(中宗) 때 온역(瘟疫)의 치료법에 관해 김안국(金安國) 등이 편찬한 의서(醫書). 한글 목판본 1책. 1542년(중종 37) 김안국이 왕명을 받들어 박세거(朴世擧)ㆍ유지번(柳之蕃) 등과 함께 여러 의서 중에서 간단한 치료법과 구비하기 쉬운 약을 가려 편찬함.
154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분수(汾水)
중국 산서성(山墅省) 북부를 시원으로 하여 태원(太原)을 거쳐 하진(河津) 부근에서 황하(黃河)에 합류하는 강 이름. 길이 690㎞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분지문집(賁趾文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남치리(南致利)의 문집. 4권 2책. 목판본. 고종(高宗) 때 남두원(南斗源)과 정사신(丁思愼)이 편집ㆍ간행함.
1889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분천(汾川)
경상도 예안(禮安)에 있는 하천 이름. 농암(聾岩) 이현보(李賢輔)가 이곳에 애일당(愛日堂)을 짓고 만년을 보냄.
경상도>예안 , 지명>자연지명
-
불갑사(佛岬寺)
백제 침류왕(384년) 때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(摩羅難陀)가 전라도 영광(靈光) 모악산(母岳山)에 세운 사찰. 고려 후기에 복구(復邱)가 머무르면서 번창함.
384 한국>백제 , 전라도>영광 , 유적>건물>사찰
-
불도징(佛圖澄)
중국 남북조시대 후조(後趙)의 고조(高祖) 때 활동한 서역(西域)의 승려. 한인(漢人)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하였고, 북방 민족을 불교문화로 교화하는 등 중국 초기 불교 발전에 공헌함.
232~34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불사문답(佛事問答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승려인 나암(懶菴) 보우(普雨)의 저서. 목판본. 1책. 도인(道人)과 객(客)이 꿈결에 문답하는 형식으로 불사(佛事)의 요체를 설명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불씨잡변(佛氏雜辨)
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도전(鄭道傳)이 1398년(태조 7)에 저술한 불교 비판서. 한혁(韓奕)이 정리하고, 윤기견(尹起畎)이 간행함. 19편으로 나누어 불교를 비판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양양 , 문헌>서명
-
불우헌집(不憂軒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(丁克仁)의 문집. 1786년(정조 10)에 정효목(丁孝穆)에 의해 간행됨. 〈불우헌가(不憂軒歌)〉ㆍ〈불우헌곡(不憂軒曲)〉ㆍ〈상춘곡(賞春曲)〉 등의 가곡(歌曲)이 수록됨.
1786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불은사(佛恩寺)
경기도 개성(開城)의 비슬산(琵瑟山)에 있었던 사찰. 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하며, 고려 광종(光宗) 때 대대적으로 중건하고 ‘불은사(佛恩寺)’라 명명함.
한국>신라 , 경기도>개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불이촌(不二村)
전라도 금산(錦山)에 있던 마을 이름. 길재(吉再)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한 청풍사(淸風祠)가 있음. 지금은 충청남도 금산군(錦山郡)에 속함.
전라도>금산 , 지명>자연지명
-
불치하문(不恥下問)
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말. 공자(孔子)가 공어(孔圉)의 시호(諡號)에 문(文) 자가 들어간 이유를 자공(子貢)에게 설명하면서 나온 말로, 《논어》〈공야장(公冶長)〉 편에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불혜(佛慧)
조선 전기의 승려. 백광훈(白光勳)의 《옥봉집(玉峯集)》에 〈연화암증불혜장로(蓮花菴贈佛慧長老)〉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불회사(佛會寺)
백제 침류왕(384년) 때 전라도 남평(南平) 덕룡산(德龍山)에 마라난타(摩羅難陀)가 세운 사찰. 367년(근초고왕 22)에 희연(熙延)이 창건했다는 설도 있음. 조선 초기에 원진국사(圓眞國師) 승형(承逈)에 의해 중창됨. 현재 전라남도 나주시에 속함.
384 한국>백제 , 전라도>남평 , 유적>건물>사찰
-
비^문(伾^文)
중국 당(唐) 나라 순종(順宗) 때의 간신(奸臣)인 왕비(王伾)와 왕숙문(王叔文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비간(比干)
중국 은(殷) 나라 주왕(紂王)의 숙부. 주왕에게 선정을 베풀 것을 충간(忠諫)하다가 극형을 당함.
B.C.1028~? 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비격진천뢰(飛擊震天雷)
조선 선조(宣祖) 때 발명ㆍ사용되었던 화기(火器). 보물 제860호. 군기시(軍器寺)의 화포장(火砲匠) 이장손(李長孫)이 발명하여 임진왜란 때 그 위력을 발휘함.
한국>조선후기 , 물품>기타용품>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