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빙옥난고(氷玉亂藁)
조선 전기의 문신 김여석(金礪石)이 율재(栗齋) 진의귀(陳義貴)와 퇴촌(退村) 김열(金閱)의 유작(遺作)을 모아 엮은 책. 홍귀달(洪貴達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문헌>서명
-
빙허루(憑虛樓)@낙안
조선 세조(世祖) 때 전라도 낙안(樂安)에 세운 정자. 손순효(孫舜孝)의 〈빙허루기(憑虛樓記)〉가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에 남아 있음.
14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낙안 , 유적>건물>누정
-
빙허루(憑虛樓)@원주
강원도 원주(原州)에 있던 누각. 조선 전기의 문신인 김사고(金師古)가 소유했던 누각으로, 숙종(肅宗) 때 어시(御詩)를 내려 선온(宣醞)하였는데 영조(英祖) 때 화재로 소실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유적>건물>누정
-
사^거(史^蘧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대부(大夫)인 사추(史鰌)와 거원(蘧瑗)을 함께 부르는 말. 사추는 죽은 뒤 시체가 되어서도 거원을 천거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고(斯^高)
중국 진(秦) 나라 시황(始皇) 때의 재상인 이사(李斯)와 환관(宦官)인 조고(趙高)를 함께 부르는 말. 두 사람이 힘을 합해 호해(胡亥)를 2세 황제로 즉위시킴.
중국>진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낙(泗^洛)
중국 산동성(山東省) 동부에 있는 사수(泗水)와 하남성(河南省) 서부에 있는 낙수(洛水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사^맹(思^孟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인 자사(子思) 공급(孔伋)과 추(趨) 나라의 학자인 맹자(孟子)를 함께 부르는 말. 맹자는 공급의 제자에게서 유학을 배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서(謝^徐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 사용재(謝用梓)와 무신 서일관(徐一貫)을 함께 부르는 말. 임진왜란 때 소서행장(小西行長)을 회유하기 위해 함께 왜군에 파견됨.
중국>명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여(謝^呂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사양좌(謝良佐)와 여조겸(呂祖謙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윤(謝^尹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사양좌(謝良佐)와 윤돈(尹焞)을 함께 부르는 말. 두 사람 모두 정이(程頤)의 제자임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조(謝^祖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 효무제(孝武帝) 때의 명장인 사현(謝玄)과 원제(元帝) 때의 명장인 조적(祖逖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사^한(史^漢)
중국 전한(前漢)의 사마천(司馬遷)이 편찬한 기전체(紀傳體) 통사(通史)인 《사기(史記)》와, 후한(後漢)의 반고(班固)가 기전체로 엮은 전한의 정사(正史)인 《한서(漢書)》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후한ㅣ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기타문헌
-
사가집(四佳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거정(徐居正)의 문집. 저자가 왕명에 의해 30권으로 편차한 것을, 1488년(성종 19)에 유고를 정리하여 교서관(校書館)에서 간행함. 50여 권의 시집과 20여 권의 문집으로 구성됨.
14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사거(謝據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사안(謝安)의 형이자 사낭(謝朗)의 아버지로, 중랑(中郞)을 지냄. 사부(謝裒)의 둘째 아들로, 후에 사씨(謝氏)의 6개 지파(支派) 중 하나를 이룸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계서원(泗溪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영천(榮川)에 세워진 서원. 황효공(黃孝恭)ㆍ나이준(羅以俊)을 배향함.
17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사계연보(沙溪年譜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ㆍ문신인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의 행장(行狀)을 기록한 책. 사계의 현손(玄孫)이며 정조(正祖) 때의 문신인 김진옥(金鎭玉)과 김진태(金鎭泰)가 윤문하고, 김희(金憙)가 1792(정조 16)에 간행함.
179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사계유고(沙溪遺稿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장생(金長生)의 문집. 목판본. 6책. 숙종(肅宗) 때 왕명에 의해 김만기(金萬基)ㆍ김만중(金萬重)이 교정하고 송시열(宋時烈)ㆍ김수항(金壽恒)의 서문을 실어 교서관(校書館)에서 간행함.
168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사계집(槎溪集)
중국 남송(南宋) 때의 문신ㆍ학자인 요덕명(廖德明)의 저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고(史高)
중국 한(漢) 나라 선제(宣帝) 때의 외척. 대사마 거기장군(大司馬車騎將軍) 등을 지내고, 선제 황후(皇后)의 아버지인 허백(許伯)과 권력을 독점함.
?~B.C.4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사곤(謝鯤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《노자(老子)》와 《주역(周易)》을 좋아하고 음악을 잘하였으며, 강동(江東)에서 난을 피해 살다가 예장 태수(豫章太守)가 됨.
280~32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