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륙화(四六話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학자인 왕질(王銍)이 지은 평론서. 2권. 송대(宋代)의 표문(表文)과 계문(啓文) 및 육조(六朝)와 당(唐) 시대의 사(詞)를 평론한 책으로, 송대 사륙변려문(四六騈儷文)의 시초임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리(舍利)
참된 불도(佛道)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. 양산(梁山) 통도사(通度寺)와 오대산(五臺山) 상원사(上院寺) 등에 석가(釋迦)의 진신사리(眞身舍利)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.
사상>현상>신체증상
-
사림광기(事林廣記)
중국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민간의 일상적인 백과사전. 송(宋) 나라 학자인 진원정(陳元靚)이 편찬하였다고도 함. 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ㆍ문학(文學) 등으로 구분하여 광범위하게 엮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림파(士林派)
조선시대 정치 세력의 하나. 김종직(金宗直)․김굉필(金宏弼)ㆍ조광조(趙光祖)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, 성종(成宗) 때부터 정계에 진출하면서 훈구파(勳舊派)의 정치 질서를 비판하고 이상적ㆍ도학적인 유교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함.
한국>조선시대 , 인명>집단>조직
-
사마경(司馬冏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혜제(惠帝) 때 대사마(大司馬)를 지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사마광(司馬光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구법당(舊法黨)의 영수로, 왕안석(王安石) 일파의 신법(新法)을 폐지하고,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을 저술함.
1019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마근(司馬覲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동진(東晉) 원제(元帝)의 아버지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사마단(司馬旦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사마지(司馬池)의 아들이며, 사마광(司馬光)의 형. 정현 주부(鄭縣主簿) 등을 역임함.
1006~10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마담(司馬談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학자. 사마천(司馬遷)의 아버지로, 태사(太史)를 지냈으며, 유가(儒家)ㆍ묵가(墨家)ㆍ법가(法家) 등 제가(諸家)에 능하여 육가(六家)의 학문 요지를 논한 《논육가요지(論六家要旨)》를 저술함.
?~B.C.11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마량(司馬亮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 혜제(惠帝) 때의 왕족. 선제(宣帝) 사마의(司馬懿)의 아들로 태재(太宰) 등을 지냈으나, 혜제의 황후 가씨(賈氏)에게 죽임을 당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사마리(司馬犁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송(宋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문인으로, 말이 많고 조급한 성격이었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사마문원집(司馬文園集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문인인 사마상여(司馬相如)의 문집. 사마상여 사후에 그의 아내인 탁문군(卓文君)이 작자의 문인적(文人的)인 면을 부각하기 위해 이 명칭을 고집하였으며, 간행 후 품귀 현상을 빚었다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마문정공집(司馬文正公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(司馬光)의 시문집. 1525년 명(明) 나라의 여남(呂枏)이 12책으로 간행하였으며, 1744년에 청(淸) 나라의 유조증(劉祖曾)이 82권으로 중간(重刊)함.
1525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마상여(司馬相如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중랑장(中郞將)ㆍ효문원령(孝文園令) 등을 지내고, 〈자허부(子虛賦)〉ㆍ〈상림부(上林賦)〉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.
B.C.179~B.C.11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마순(司馬恂)
중국 명(明) 나라 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1450년(조선 세종 32) 한림원 시강(翰林院侍講) 예겸(倪謙)과 함께 경종의 즉위를 알리고자 조선에 와서 정인지(鄭麟趾) 등과 학문적 교류를 나눔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마승정(司馬承禎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ㆍ학자. 반사정(潘師正)에게 벽곡도인술(辟穀導引術)을 전수받았으며, 《도덕경(道德經)》의 정본(定本)을 만듦.
647~7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사마시(司馬試)
조선시대의 과거 제도의 하나. 생원시(生員試)와 진사시(進士試)로 구성되는데, 생원시는 오경의(五經義)와 사서의(四書疑)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, 진사시는 부(賦)와 시(詩)의 제목으로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함. 초시(初試)와 복시(覆試)로 진행되고, 대과(大科)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.
1393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
-
사마씨서의(司馬氏書儀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(司馬光)이 찬술한 서적. 총1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마영(司馬穎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의 열여섯째 아들. 교지명(喬智明)과 육기(陸機)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, 무제가 죽은 후 팔왕(八王)의 난(亂)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.
279~30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사마유(司馬攸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무제(武帝)의 동생. 아버지 사마소(司馬昭)가 차남 사마유(司馬攸)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(司馬炎)을 세자로 삼음. 사공(司空) 등의 벼슬을 지냄.
248~28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